중국 상하이 양산 심수항만의 개장이 당초 예정보다 한 달 빠른 이달 말이나 내달 초로 예정된 가운데, 이 지역으로 서비스를 이전하게 되는 주요 컨테이너 선사들의 걱정이 날이 갈수록 커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로이즈리스트 등 해운 물류지 보도에 따르면, 주요 컨테이너 선사들은 터미널 운영일수 제한과 이 지역의 기상 여건이 상하이 양산항의 정상적인 가동에 영향을 줄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상하이 국제항무집단(SIPG)는 양산항 제1단계 컨테이너 터미널 공사를 최근 마무리 짓고, 기존에 상하이 항을 중심으로 이뤄지던 유럽항만 16개 서비스 항로를 양산항의 새로운 터미널로 이전하는 조치를 취한 바 있다.
선사들은 이같은 조치로 상하이 항만의 가장 큰 문제점인 흘수 제한을 극복할 수 있고, 상하이 터미널과 와이가오치아오 터미널의 체증을 피할 수 있다고 반기고 있으나 양산항이 상하이에서 바다 밖으로 30킬로미터 정도 떨어져 있다는 점에 대해 신경을 곤두세우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관련 차이나 쉬핑의 리 케린(LI Kelin) 회장은 양산항의 5개 선석으로 유럽-아시아 항로 서비스 물동량과 8,000 TEU가 넘는 대형 컨테이너선을 효과적으로 처리하는 데는 문제가 없으나 선석이 제한돼 있어 아시아-지중해 항로 서비스 물량을 처리할 수 없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다른 항만에서 화물을 환적 해야 하는 애로가 있다고 토로했다.
양산항이 안고 있는 또 다른 문제점은 이곳이 오래 전부터 강풍과 태풍이 심한 지역으로 알려져 있어 양산항을 연결하는 32킬로미터의 둥하이(東海) 대교가 자주 폐쇄될 가능성이 크다는 사실이다. 또 이 지역의 바다 또한 안개가 자주 끼고, 파도가 심하게 쳐 항만 운영에 지장을 초래할 수 있다는 점도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선사들은 또한 와이가오치아오 터미널에서 54킬로미터 떨어진 양산항으로 화물을 옮기는데 트럭의 경우 20피트 기준으로 60달러 정도 추가적으로 운송비가 들어가고, 바지운송은 40달러가 늘어나는 것에 대해서도 부담을 갖고 있다.
이밖에 상하이 양산항에서 푸둥 수출 화물 창고까지 빈 컨테이너를 이동시키는 비용과 양산항으로 연결되는 셔틀 바지 서비스가 독점적으로 운영된다는 점에 대해서도 곱지 않은 시선을 보내고 있다.
편집국
(주)미디어케이앤 서울특별시 서초구 법원로3길 19, 2층 2639호
Tel: 02)3411-3850 등록번호 : 서울, 다 06448, 등록일자 : 1981년 3월 9일, 발행인/편집인 : 국원경(010-9083-8708) Copyrightⓒ 2014 미디어K&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