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5 (금)

  • 맑음동두천 9.8℃
  • 맑음강릉 14.2℃
  • 연무서울 10.7℃
  • 구름조금대전 9.7℃
  • 구름많음대구 14.9℃
  • 흐림울산 17.3℃
  • 흐림광주 10.7℃
  • 흐림부산 17.5℃
  • 흐림고창 8.1℃
  • 흐림제주 14.2℃
  • 맑음강화 10.0℃
  • 맑음보은 9.2℃
  • 구름많음금산 9.6℃
  • 흐림강진군 11.8℃
  • 흐림경주시 16.2℃
  • 흐림거제 16.6℃
기상청 제공

해운

택배업체 ‘출혈경쟁’ 심각

국내 택배업체들의 단가 경쟁이 심각한 수준에 이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 인해 업체들은 매출(물량)은 늘고 영업이익은 줄어드는 영업 악순환을 거듭할 것으로 보인다. 본지가 최근 입수한 국내 택배업체 ‘빅4’의 지난 3년간(2003년~2005년 상반기) 매출 및 단가 추이(표 참조)를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현대택배 등 4개사는 지난 2003년 3,500원대의 평균단가를 유지했으나, 점차 하락 기조를 보이며 3,000원대 밑으로까지 곤두박질 쳤다. 업체별로 보면, 전통적으로 고단가 정책을 펴왔던 한진택배와 대한통운 택배는 올 상반기 3,000원대 초반으로 단가가 크게 떨어졌다. 이는 3,400~3,600원대이던 지난 2003년과 비교할 때 약 400~500원 가량 떨어진 것이다. 특히 한진택배의 경우 영업 전략을 공격적으로 선회하면서 반기 만에 급격한 하락세를 나타냈다. 현대택배 역시 2003년 평균 3,400원대의 단가를 유지했으나 지난해 3,165원으로 하락하더니 올 상반기에는 2,959원으로까지 떨어졌다. CJ GLS 또한 양상은 마찬가지였다. 문제는 이같은 업체들 간의 저단가 경쟁이 앞으로도 지속될 것이란 데 있다. 그럴 경우 피해가 고스란히 택배업체와 이를 이용하는 소비자들에게로 돌아가기 때문이다. 특히 이들 대형 택배업체들은 매출액(물량)이 평균 10~20%가량 늘어나고 있는 것과는 달리 영업이익은 점차 줄거나 매출보다 현격히 낮은 수준에 머물고 있다. 이는 결국 택배업체들이 무리한 단가경쟁으로 인해 손해 보는 장사를 하고 있다는 얘기다. 한 업계 관계자는 “각 업체들마다 물량을 늘리는데 혈안이 돼 있어 단가 경쟁은 앞으로도 계속될 것”이라며 “이같은 경쟁기조가 계속될 경우 단가는 앞으로 2,000원 초반 대까지 떨어질지 모른다”고 말했다. 유용무 기자 ymryu@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