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산업통합클러스터는 지난 16일 국회의원회관 제1소회의실에서 “한국형 스마트 조선·해운 4.0 어떻게 준비해야하는가?”를 주제로 각계 전문가를 모시고 국회 정책세미나를 성공적으로 개최했다. 이번 세미나는 해양산업통합클스터와 국회 농해수위 설훈 위원장을 비롯한 6명의 국회의원, 해양수산부, 부산시, 중소조선연구소 등 관학연의 전문가들이 모여 조선해양 분야의 4차 산업혁명 대응 기술에 대한 실제적인 논의 필요성을 공감하면서 시작되었다. 이날 주제발표에는 KAIST 박희경 부총장과 한국선급 김대헌 연구소장이 발표자로 나서 4차산업혁명의 산업적 본질을 조명하고, 한국형 스마트 조선해운 기술개발 현황과 전략방향을 각각 제시했다. 종합토론에는 선박 안전분야(해양수산부 임현택 해사산업기술과장), 조선제조 분야(STX조선 김강수 前 대표), 선박기자재 분야(KOMERI 강규홍 본부장), 해상운항 및 관리 분야(선박관리산업협회 김종태 부회장), ICT 보안 분야(한국인터넷진흥원 이성재 센터장) 등 각계 전문가들이 모여 자율운항선박에 대한 기술정책에 대해 심도 있게 논의했다. 해양산업통합클러스터의 의장기관이자 사무국으로서 이번 행사의 주관을 맡은 한국선급 이정기 회장은 이날
미국, EU 및 아시아 간의 치열한 무역 전쟁은 해운 및 화물 운임에 상당한 영향을 줄 수 있다. 트럼프 행정부가 강철에 25%, 알루미늄에 10% 징벌적 관세를 부과했기 때문이다. 또, 관련된 프로젝트 해운시장에도 적신호가 켜질 것으로 예상된다. 확연히 줄어들 철강 운송 물량과 수익 미국, EU 및 아시아 간의 치열한 무역 전쟁으로 트럼프 행정부가 강철에 25%, 알루미늄에 10% 징벌적 관세를 부과했다. 그렇기 때문에 다목적, 무거운 리프트 및 벌크 선적에 대한 즉각적인 부정적 결과가 일어날 수 있다고 선박중개인은 경고한다. 무엇보다도 철강 제품은 북미 노선의 다목적 및 프로젝트 선사에 중요한 화물이다. “징벌적 관세가 많은 선사에 치명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다"고 한 독일 선하 중개인이 독일물류신문 DVZ에 말했다. 미국으로의 철강 선적은 최악의 경우 3분의 1 이상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은 지난해 총 3560만 톤의 철강을 수입했다. 주요 철강 공급 국가는 브라질, 한국, 러시아, 터키, 일본 및 독일이다. 철강의 대서양 노선에서 주요 운송업체는 캐나다 운송 회사 Fednav, 덴마크 회사 Ultrabulk 및 Clipper, 프로젝트 해운 회
미국, EU 및 아시아 간의 치열한 무역 전쟁은 해운 및 화물 운임에 상당한 영향을 줄 수 있다. 트럼프 행정부가 강철에 25%, 알루미늄에 10% 징벌적 관세를 부과했기 때문이다. 또, 관련된 프로젝트 해운시장에도 적신호가 켜질 것으로 예상된다. 확연히 줄어들 철강 운송 물량과 수익 미국, EU 및 아시아 간의 치열한 무역 전쟁으로 트럼프 행정부가 강철에 25%, 알루미늄에 10% 징벌적 관세를 부과했다. 그렇기 때문에 다목적, 무거운 리프트 및 벌크 선적에 대한 즉각적인 부정적 결과가 일어날 수 있다고 선박중개인은 경고한다. 무엇보다도 철강 제품은 북미 노선의 다목적 및 프로젝트 선사에 중요한 화물이다. “징벌적 관세가 많은 선사에 치명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다"고 한 독일 선하 중개인이 독일물류신문 DVZ에 말했다. 미국으로의 철강 선적은 최악의 경우 3분의 1 이상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은 지난해 총 3560만 톤의 철강을 수입했다. 주요 철강 공급 국가는 브라질, 한국, 러시아, 터키, 일본 및 독일이다. 철강의 대서양 노선에서 주요 운송업체는 캐나다 운송 회사 Fednav, 덴마크 회사 Ultrabulk 및 Clipper, 프로젝트 해운 회
4차 산업혁명은 사물인터넷(IoT), 인공지능(AI) 등 첨단 정보기술의 발전을 원동력으로 하여 다양한 산업 군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는 제조 산업의 스마트 팩토리와 마찬가지로 항만분야에서 스마트 항만의 패러다임을 가져오고 있다. 스마트 항만은 항만의 자동화를 포함하여 물류 최적화, 에너지 효율화, 친환경 및 배후도시와의 연계성까지 포함하는 종합적인 개념으로 정의되고 있다. 또한 항만과 연결된 데이터를 수집, 가공, 분석, 공유하는 정보의 허브역할도 수행하면서 관련된 자원을 유기적으로 연계한다. 스마트 항만을 추구하는 국외 항만의 사례를 살펴보면, 해외 주요 항만들은 포괄적 개념의 스마트 항만 실현을 위해 자동화, 운영 효율화, 친환경 에너지 전환 및 내륙운송 연계를 모두 고려하는 종합 로드맵을 수립하고 각 부문별로 세부 프로젝트를 추진해오고 있다. 로테르담항, 함부르크항, 중국의 11개 항만 그리고 일본 등이 그 대표적인 예이다. 반면, 우리나라는 아직 스마트 항만 구축에 대한 올바른 인식이 이루어지지 않았고 준비도 미흡한 실정이다. 최근 해양수산부가 혁신성장 주도 사업의 일환으로 계획하고 있는 ‘스마트 해상물류 구축전략’에 따르면, 스마트 항만
오늘날 공급망 프로세스는 여러 당사자가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효율성이 높고, 표준화되었으며 과정이 다른 몇몇의 사업군들과는 비교적으로 투명하다. 세계 무역은 여러 기업들 혹은 국가간의 이해 관계와 여러 추적 시스템의 사용과 관련된 여러 당사자와 관련이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물류 체인의 많은 부분은 당국이 규제한 수작업 프로세스에 묶여 있다. 예를 들어, 기업은 종종 세관 절차를 준수하기 위해 수동 데이터 입력 및 서류 기반 문서에 의존한다. 이 모든 것이 물품의 출처와 선적 상태를 추적하는 것을 어렵게 하여 세계 무역에서 마찰과 손실을 초래한다. 독일의 물류 그룹 DHL과 컨설팅 회사 Accenture의 최근 추세 보고서에 따르면 물류 부문에서 이러한 마찰 손실을 줄이고 공급 체인 프로세스에서 상당한 효율성 개선을 달성하는 데 블록체인(Blockchain)이 해결책이 될 수 있다. 이 기술은 또한 데이터의 투명성과 공급망 내의 관련자들간의, 더 나아가 라스트 마일(최종 구매자)고객들의 접근을 가능하게 하여 "제품의 출처에 대한 진실성"을 명확하게 알 수 있다. 정보를 교환하기 위해 당사자들이 요구하는 신뢰는 블록체인의 본질적인 보안 기술에 의해 강화된다.
4차 산업혁명은 사물인터넷(IoT), 인공지능(AI) 등 첨단 정보기술의 발전을 원동력으로 하여 다양한 산업 군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는 제조 산업의 스마트 팩토리와 마찬가지로 항만분야에서 스마트 항만의 패러다임을 가져오고 있다. 스마트 항만은 항만의 자동화를 포함하여 물류 최적화, 에너지 효율화, 친환경 및 배후도시와의 연계성까지 포함하는 종합적인 개념으로 정의되고 있다. 또한 항만과 연결된 데이터를 수집, 가공, 분석, 공유하는 정보의 허브역할도 수행하면서 관련된 자원을 유기적으로 연계한다. 스마트 항만을 추구하는 국외 항만의 사례를 살펴보면, 해외 주요 항만들은 포괄적 개념의 스마트 항만 실현을 위해 자동화, 운영 효율화, 친환경 에너지 전환 및 내륙운송 연계를 모두 고려하는 종합 로드맵을 수립하고 각 부문별로 세부 프로젝트를 추진해오고 있다. 로테르담항, 함부르크항, 중국의 11개 항만 그리고 일본 등이 그 대표적인 예이다. 반면, 우리나라는 아직 스마트 항만 구축에 대한 올바른 인식이 이루어지지 않았고 준비도 미흡한 실정이다. 최근 해양수산부가 혁신성장 주도 사업의 일환으로 계획하고 있는 ‘스마트 해상물류 구축전략’에 따르면, 스마트 항만
오늘날 공급망 프로세스는 여러 당사자가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효율성이 높고, 표준화되었으며 과정이 다른 몇몇의 사업군들과는 비교적으로 투명하다. 세계 무역은 여러 기업들 혹은 국가간의 이해 관계와 여러 추적 시스템의 사용과 관련된 여러 당사자와 관련이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물류 체인의 많은 부분은 당국이 규제한 수작업 프로세스에 묶여 있다. 예를 들어, 기업은 종종 세관 절차를 준수하기 위해 수동 데이터 입력 및 서류 기반 문서에 의존한다. 이 모든 것이 물품의 출처와 선적 상태를 추적하는 것을 어렵게 하여 세계 무역에서 마찰과 손실을 초래한다. 독일의 물류 그룹 DHL과 컨설팅 회사 Accenture의 최근 추세 보고서에 따르면 물류 부문에서 이러한 마찰 손실을 줄이고 공급 체인 프로세스에서 상당한 효율성 개선을 달성하는 데 블록체인(Blockchain)이 해결책이 될 수 있다. 이 기술은 또한 데이터의 투명성과 공급망 내의 관련자들간의, 더 나아가 라스트 마일(최종 구매자)고객들의 접근을 가능하게 하여 "제품의 출처에 대한 진실성"을 명확하게 알 수 있다. 정보를 교환하기 위해 당사자들이 요구하는 신뢰는 블록체인의 본질적인 보안 기술에 의해 강화된다.
독일 빌헬름스하벤에 위치한 컨테이너 터미널 배후단지가 최근 한국 서울에 본사를 둔 미디어케이앤과 협력 계약을 체결했다. 이 협력은 한국에서 독일 유일의 심해항인 빌헬름스하벤 컨테이너터미널을 대표하여 활동을 시작하기 위함이다. 독일 북서부에 위치한 빌헬름스하벤 야데베저 항만은 수심이 18미터에 달하며 현대적인 터미널 상부 구조물을 갖추고, 현재 2만 TEU 이상의 대형 컨테이너 선박을 처리하는데 있어 만반의 준비를 갖추고 있다. 배후단지는 컨테이너 터미널 바로 옆에 위치하고 있으며 충분한 공간을 제공하여 산업, 무역 및 물류 기업을 위한 다양한 구성 옵션을 제공하고 있다. 현재 해운회사인 Maersk Line 및 MSC가 제공하는 AE5 / Albatros 정기선이 빌헬름스하벤과 부산 사이 정규 스케쥴을 갖추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빌헬름스하벤 컨테이너터미널(야데베저항) 마케팅 주식회사 대표인 안드레아스 불빈켈씨는 “㈜미디어케이앤은 한국 내 여러 산업, 특히 해양 산업 및 물류 분야 기업들과의 광범위한 네트워크를 갖춰 빌헬름스하벤 컨테이너 터미널의 장점을 홍보하기에 이상적인 파트너입니다. 한국에서부터 정기선 서비스 홍보 외에도 바로 인접해 있는 배후단지가
A cooperation agreement was recently signed by the authorized persons of Güterverkehrszentrum Wilhelmshaven with Media K&, headquartered in Seoul. The agreement targets the representation of Germany’s only deep-water container port at Wilhelmshaven in South Korea. With a water depth of 18 metres and its modern terminal supra-structure, the port location in north-western Germany is well prepared for the challenges involved in handling today’s largest container ships of more than 20,000 TEU. The freight village offers adequate space capacities in the direct vicinity of the container terminal
독일 빌헬름스하벤에 위치한 컨테이너 터미널 배후단지가 최근 한국 서울에 본사를 둔 미디어케이앤과 협력 계약을 체결했다. 이 협력은 한국에서 독일 유일의 심해항인 빌헬름스하벤 컨테이너터미널을 대표하여 활동을 시작하기 위함이다. 독일 북서부에 위치한 빌헬름스하벤 야데베저 항만은 수심이 18미터에 달하며 현대적인 터미널 상부 구조물을 갖추고, 현재 2만 TEU 이상의 대형 컨테이너 선박을 처리하는데 있어 만반의 준비를 갖추고 있다. 배후단지는 컨테이너 터미널 바로 옆에 위치하고 있으며 충분한 공간을 제공하여 산업, 무역 및 물류 기업을 위한 다양한 구성 옵션을 제공하고 있다. 현재 해운회사인 Maersk Line 및 MSC가 제공하는 AE5 / Albatros 정기선이 빌헬름스하벤과 부산 사이 정규 스케쥴을 갖추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빌헬름스하벤 컨테이너터미널(야데베저항) 마케팅 주식회사 대표인 안드레아스 불빈켈씨는 “㈜미디어케이앤은 한국 내 여러 산업, 특히 해양 산업 및 물류 분야 기업들과의 광범위한 네트워크를 갖춰 빌헬름스하벤 컨테이너 터미널의 장점을 홍보하기에 이상적인 파트너입니다. 한국에서부터 정기선 서비스 홍보 외에도 바로 인접해 있는 배후단지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