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 빌헬름스하벤에 위치한 컨테이너 터미널 배후단지가 최근 한국 서울에 본사를 둔 미디어케이앤과 협력 계약을 체결했다. 이 협력은 한국에서 독일 유일의 심해항인 빌헬름스하벤 컨테이너터미널을 대표하여 활동을 시작하기 위함이다. 독일 북서부에 위치한 빌헬름스하벤 야데베저 항만은 수심이 18미터에 달하며 현대적인 터미널 상부 구조물을 갖추고, 현재 2만 TEU 이상의 대형 컨테이너 선박을 처리하는데 있어 만반의 준비를 갖추고 있다. 배후단지는 컨테이너 터미널 바로 옆에 위치하고 있으며 충분한 공간을 제공하여 산업, 무역 및 물류 기업을 위한 다양한 구성 옵션을 제공하고 있다. 현재 해운회사인 Maersk Line 및 MSC가 제공하는 AE5 / Albatros 정기선이 빌헬름스하벤과 부산 사이 정규 스케쥴을 갖추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빌헬름스하벤 컨테이너터미널(야데베저항) 마케팅 주식회사 대표인 안드레아스 불빈켈씨는 “㈜미디어케이앤은 한국 내 여러 산업, 특히 해양 산업 및 물류 분야 기업들과의 광범위한 네트워크를 갖춰 빌헬름스하벤 컨테이너 터미널의 장점을 홍보하기에 이상적인 파트너입니다. 한국에서부터 정기선 서비스 홍보 외에도 바로 인접해 있는 배후단지가
A cooperation agreement was recently signed by the authorized persons of Güterverkehrszentrum Wilhelmshaven with Media K&, headquartered in Seoul. The agreement targets the representation of Germany’s only deep-water container port at Wilhelmshaven in South Korea. With a water depth of 18 metres and its modern terminal supra-structure, the port location in north-western Germany is well prepared for the challenges involved in handling today’s largest container ships of more than 20,000 TEU. The freight village offers adequate space capacities in the direct vicinity of the container terminal
A cooperation agreement was recently signed by the authorized persons of Güterverkehrszentrum Wilhelmshaven with Media K&, headquartered in Seoul. The agreement targets the representation of Germany’s only deep-water container port at Wilhelmshaven in South Korea. With a water depth of 18 metres and its modern terminal supra-structure, the port location in north-western Germany is well prepared for the challenges involved in handling today’s largest container ships of more than 20,000 TEU. The freight village offers adequate space capacities in the direct vicinity of the container terminal
∙ 빌헬름스하벤 심해항 바로 인접한 배후단지 내 약 100,000 평방미터 자동차 부품 포장 센터. ∙ 면적 약 45,000 평방미터의 DGNB Gold Standard에 준거한 5 개 홀 ∙ 2018 년 6 월 건축 시작 예정 산업 및 물류 분야의 선도 프로젝트 개발업체 인 Panattoni Europe(이하 파나토니 유럽)과 폭스바겐 그룹이 자동차 부품 수출을 위한 새로운 멀티 브랜드 포장 센터를 건설하기로 계약을 체결했다. 선택된 위치는 빌헬름스하벤의 야데베저항 내 배후단지이며, 해당 항만은 독일의 유일한 심해항으로 주요 철도 네트워크와 A 29 고속도로에 직접 연결되어 있어 편리성을 갖추고 있다. 파나토니 유럽은 약 100,000 평방미터의 부지 위에 아우디, 폭스바겐 및 폭스바겐 상용차를 위한 자동차 부품을 멕시코, 미국 및 중국의 공장을 포함한 해외의 폭스바겐 그룹 생산 시설로 운송될 새로운 포장 센터를 건설하게 된다. 또한 물류 센터는 총 사용 가능 면적 45,000 평방 미터의 다섯 개의 홀로 구성되며 DGNB Gold Standard [DGNB : Dugnb : Deutsche Gesellschaft für Nachhaltiges Bauen-
∙ 빌헬름스하벤 심해항 바로 인접한 배후단지 내 약 100,000 평방미터 자동차 부품 포장 센터. ∙ 면적 약 45,000 평방미터의 DGNB Gold Standard에 준거한 5 개 홀 ∙ 2018 년 6 월 건축 시작 예정 산업 및 물류 분야의 선도 프로젝트 개발업체 인 Panattoni Europe(이하 파나토니 유럽)과 폭스바겐 그룹이 자동차 부품 수출을 위한 새로운 멀티 브랜드 포장 센터를 건설하기로 계약을 체결했다. 선택된 위치는 빌헬름스하벤의 야데베저항 내 배후단지이며, 해당 항만은 독일의 유일한 심해항으로 주요 철도 네트워크와 A 29 고속도로에 직접 연결되어 있어 편리성을 갖추고 있다. 파나토니 유럽은 약 100,000 평방미터의 부지 위에 아우디, 폭스바겐 및 폭스바겐 상용차를 위한 자동차 부품을 멕시코, 미국 및 중국의 공장을 포함한 해외의 폭스바겐 그룹 생산 시설로 운송될 새로운 포장 센터를 건설하게 된다. 또한 물류 센터는 총 사용 가능 면적 45,000 평방 미터의 다섯 개의 홀로 구성되며 DGNB Gold Standard [DGNB : Dugnb : Deutsche Gesellschaft für Nachhaltiges Bauen-
국내 최초의 해양산업 지속성장을 위한 산학연관의 모임인 ‘해양산업통합클러스터’는 한국선급 주관으로 지난 16일 국회의원회관 제1소회의실에서 “한국형 스마트 조선/해운 4.0 어떻게 준비해야하는가?”를 주제로 국회 정책세미나를 개최했다. 국회 농해수위 설훈 위원장을 비롯한 6명의 국회의원이 공동주최하고 한국선급과 중소조선연구원이 주관하며 해양수산부와 부산시 외 18개 해양산업통합클러스터 소속 민간단체들이 참여하는 가운데 진행되었다. 세미나에서는 ■ 4차 산업혁명과 조선산업 ■ 자율운항선박 기술개발정책 및 현황 ■ 한국형 스마트 조선해운 기술개발의 현황과 전략방향 등이 심도있게 논의되었다. 한편, 해양산업통합클러스터는 2015년부터 우리나라에서 본격적으로 시도된 민간 실무자 주도의 해운·조선·금융산업간 상생네트워크 조직으로 42개 기관·단체가 참여하고 있으며 한국선급은 의장기관이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항만산업은 단순한 항만의 기능만이 아닌 배후단지를 이용한 고부가가치 물류활동이 필요하다”고 최근 양창호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원장은 기자간담회를 통해 강조했다. 양 원장은 그동안 항만산업이 물동량 위주의 성장에 역점을 두고 산업의 경쟁력 강화 및 정책 수립을 추진해 왔다면 앞으로는 일자리, 산업경기 여건 등 사회적, 경제적 관심사를 부각할 수 있는 경기지표 연구에 더욱 관심을 기울일 때라고 말했다. 또 양 원장은 항만과 밀접한 연관성을 가진 수출입 기업 및 석유화학 그리고 제철산업 등 장치산업 등을 포함한 종합적인 통계 및 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도 필요하다며 이는 항만을 이용하는 항만산업 경기의 선행지표로 활용이 가능하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항만산업 및 연관 산업 정보시스템 구축 방안으로는 각종 공공데이터 개방 정보, 민간 기업정보 등을 활용하여 상시적인 고용동향 정보, 경기 현황 자료 구축도 필요하다. 한편 우리나라 항만 배후단지 내 낮은 부가가치 활동으로 항만 배후단지 일자리 창출 효과는 극히 낮은 상황이다. 전국 4개 항만 배후단지 내 입주한 기업은 170여개로 이들 업체에 종사하는 인원은 2016년 기준 6,400여명에 불과하며 입주기업의 대부분이 화물
야데 서비스가 빌헬름스하벤 화물운송센터에 투자하여 지금보다 더 나은 해상 서비스를 제공하려 한다. 올해에는 외부 시설을, 내년에는 사무실 건물을 완성할 예정이다. 독일 니더작센 주는 이를 환영하고 있다. 빌헬름스하벤 화물운송센터에 투자 빌헬름스하벤의 서비스업체 야데 서비스(Jade-Dienst GmbH)가 컨테이너 터미널에 인접한 빌헬름스하벤 화물운송센터의 새 소재지에 투자한다. 1.1 헥타르의 공간에오는 8월까지 1,000 제곱 미터 크기의 컨테이너용 보관 및 환적 센터와 주차장을 갖춘 외부 시설이 들어설 예정이다. 야데베저포트(JadeWeserPort)의 야데 서비스는 앞으로 화물운송센터의 새 지점에서 바로 컨테이너 터미널, 수문, 내항 및 부두에서 정박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다. 그 다음으로 2019년 4월까지 상황실 및 사무실 건물을 건축할 예정이다. 야데 서비스는 지난 3월 6일 컨테이너 터미널 빌헬름스하벤 야데베저포트 마케팅(Container Terminal Wilhelmshaven JadeWeserPort-Marketing GmbH & Co. KG)과 해당되는 지상권 계약에 서명했다. 화물운송센터의 나머지 2.4 헥타르 공간도 예약되어 있다
야데 서비스가 빌헬름스하벤 화물운송센터에 투자하여 지금보다 더 나은 해상 서비스를 제공하려 한다. 올해에는 외부 시설을, 내년에는 사무실 건물을 완성할 예정이다. 독일 니더작센 주는 이를 환영하고 있다. 빌헬름스하벤 화물운송센터에 투자 빌헬름스하벤의 서비스업체 야데 서비스(Jade-Dienst GmbH)가 컨테이너 터미널에 인접한 빌헬름스하벤 화물운송센터의 새 소재지에 투자한다. 1.1 헥타르의 공간에 오는 8월까지 1,000 제곱 미터 크기의 컨테이너용 보관 및 환적 센터와 주차장을 갖춘 외부 시설이 들어설 예정이다. 야데베저포트(JadeWeserPort)의 야데 서비스는 앞으로 화물운송센터의 새 지점에서 바로 컨테이너 터미널, 수문, 내항 및 부두에서 정박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다. 그 다음으로 2019년 4월까지 상황실 및 사무실 건물을 건축할 예정이다. 야데 서비스는 지난 3월 6일 컨테이너 터미널 빌헬름스하벤 야데베저포트 마케팅(Container Terminal Wilhelmshaven JadeWeserPort-Marketing GmbH & Co. KG)과 해당되는 지상권 계약에 서명했다. 화물운송센터의 나머지 2.4 헥타르 공간도 예약되어 있
2013년 우리나라는 중국, 일본과 함께 북극이사회 옵서버 국가의 지위를 획득했다. 이후 가장 먼저 북극정책 기본계획을 수립하여 옵서버 국가로서의 위상을 제고해왔다. 2018년에는 ‘제2차 북극정책 기본계획(2018~2022)’과 ‘신 북방 정책’을 토대로 본격적인 북극 정책의 추진을 앞두고 있는 한편, 중국은 지난 1월 26일 중국 국무부가 ‘북극정책 백서’를 공식 발간하여 이에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이를 통해 중국은 일대일로의 북극 확장판인 빙상 실크로드(Polar Silk Road)’를 공식화하고 앞으로의 북극정책에 가이드라인을 제시했다. 이를 통해 중국의 북극정책 백서가 우리나라의 북극정책 추진에 미칠 영향을 자세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 중국은 ‘존중, 협력, 공영, 지속 가능’을 원칙으로 ‘북극 이해, 북극 보호, 북극 개발, 북극 거버넌스 참여’의 4대 북극정책목표를 제시했으며 그 핵심은 빙상 실크로드를 통한 일대일로전략의 완성이다. 이를 위해 중국은 거대한 자본력을 바탕으로 북극 자원과 인프라에 대한 투자를 강화하고 투자의 분야도 더욱 다양화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또한 북극이사회 8개 회원국 중 미국을 제외한 7개국이 AIIB(Asian 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