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D현대삼호 야드 [사진=HD현대삼호]
미국 정부가
중국 조선업과 선박 운항에 대한 제재를 강화하면서 글로벌 해운업계의 흐름이 변화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국내 조선업계가 반사이익을 얻고 있다. HD현대가 그리스 해운사와 컨테이너선 20척을 건조하는 대형 수주 계약을 앞두고 있어 주목된다. 이번 계약
규모는 총 2조2500억 원에 달한다.
4일 해운업계에 따르면, 그리스 해운사 캐피탈 마리타임은 HD현대삼호중공업에 8800TEU(1TEU=20피트 컨테이너 1개)급 액화천연가스(LNG) 이중연료
컨테이너선 6척을 발주할 예정이다. 척당 가격은 약 1억4000만 달러(약 2033억 원)로, 총
계약 규모는 8억4000만 달러(약 1조2198억 원)로 추정된다.
또한, 캐피탈 마리타임은 HD현대미포조선에도 2800TEU급 컨테이너선 8척(척당 5500만 달러)과 1800TEU급
컨테이너선 6척(척당
4500만 달러)을 총 7억1000만 달러(약 1조310억 원)에 주문할 것으로 알려졌다. 선박 인도는 2027년부터 2년간
순차적으로 진행될 전망이다.
캐피탈
마리타임은 그동안 중국 조선소를 주로 이용해 왔으며, 작년에도 중국 뉴타임즈조선에 8800TEU급 컨테이너선 10척을 발주한 바 있다. 그러나 최근 미국 정부가 중국 선박에 대한 대규모 입항 수수료 부과를 검토하면서 중국에서 한국으로 발주처를
변경하는 선주들이 늘어나고 있다.
미국 무역대표부는
중국 소유 선박이 미국 항만에 입항할 경우 선박당 100만 달러(약 14억 원), 중국산 선박을 이용하는 선사는 선박당 150만 달러(약 21억
원)의 수수료를 부과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이에 따라
중국산 선박을 이용하는 비용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글로벌 해운사들이 한국 조선소로 발주처를 변경하는
흐름이 감지되고 있다.
지난 몇
년간 중국 조선소들은 가격 경쟁력을 앞세워 세계 선박 시장을 장악해왔다. 해운조사업체 클락슨리서치에
따르면, 2023년 중국 조선소들의 세계 선박 수주 점유율은 70%에
달했다. 반면, 한국 조선사들의 수주 점유율은 2022년 32%에서 지난해 16%로
하락했다.
그러나
올해 들어 한국 조선업계가 다시 반등 조짐을 보이고 있다. 2024년
1~3월 한국의 수주 점유율은 27%로 증가한 반면, 중국의
점유율은 49%로 감소했다. 이번 캐피탈 마리타임의 대규모
발주가 현실화되면, 한국 조선업체들의 점유율 상승에 더욱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국내 조선사들은
미국의 대중국 제재로 인해 해외 선주들의 한국 조선소 선택이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삼성중공업은
브라질 해운사 트랜스페트로와 1조9000억 원 규모의 셔틀탱커 9척 수주 계약을 논의 중이다. 당초 중국 조선사와 분할 수주가 예상됐던
물량이지만, 최근 미국의 압박으로 한국 수주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한화오션
역시 독일 해운사 하팍로이드로부터 1만6800TEU급 컨테이너선 6척을 수주하는 계약을 기대하고 있으며, 계약 규모는 약 1조8000억 원에 달한다. 또한, 지난달 31일에는 미국의 에너지 기업 엑슨모빌이 중국에 맡기려던 LNG벙커링선 2척 주문을 취소했으며, 해당 물량 역시 한국 조선사 중 한 곳이 수주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조선업계
관계자는 "미국 정부의 중국 조선사 및 선사에 대한 제재가 지속되면서 글로벌 해운사들이 미국으로
화물을 보낼 때 중국산 선박을 피하려는 움직임이 더욱 가속화될 것"이라며 "이에 따라 한국 조선소에 대한 선호도는 당분간 더욱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