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양항 스마트 항만 조감도 [사진=전남도] 전라남도가글로벌 해운·항만 육성과 깨끗한 해양생태계 조성을 목표로 6개분야 75개 사업에 총 3,630억 원을 투입한다. 이를 통해 어업인의 삶의 질 향상, 스마트항만 건설, 해상교통망 확충, 해양쓰레기 관리기반 구축, 체계적 갯벌 관리 등을 추진할 방침이다. 전남도는초고령화 사회로 접어든 어촌의 소멸을 방지하고 생활·경제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일반농산어촌개발, 후계 어업인 육성, 수산경영 대학 운영 등 11개 사업에 243억 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어촌 지역의 인구 감소 문제를 해결하고 어업인의 안정적인 생활 기반을 조성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국내최대 수출입 물동량을 처리하는 광양항을 스마트 자동화 항만으로 전환하기 위해 자동화 항만 테스트베드 구축, 율촌융복합물류단지 조성 등의 사업을 추진한다. 이를 위해 목포항을 서남권 핵심 지원항만으로 육성하는 계획도 포함되었으며, 목포신항 진입도로 건설, 5만 톤급 자동차 부두 확충 등 24개 사업에 총 2,259억 원이 투입될 예정이다. 뿐만 아니라, 완도항과 땅끝항을 포함한 지방관리 항만 9곳에는 방파제 및 접안시설확충을 위한 430억 원을 지원하여 체계
△부산 신항 전경 [사진=부산항만공사] 부산항이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물류 혁신을 통해 글로벌 환적 허브로 도약하고 있다. 세계 최대 컨테이너 선사인 MSC가 이러한 기술을 기반으로 부산항에서 연간 400만 TEU(20피트 컨테이너 1개분) 이상의물동량을 처리하며 새로운 기록을 세웠다. 이는 국내 주요 컨테이너 항만인 인천항(약 356만 TEU)과광양항(약 201만TEU)의 연간 물동량을 뛰어넘는 규모로, 단일 선사 기준 국내 최초의 성과다. 지난 5일 부산항만공사(BPA)에 따르면,MSC가 지난해 부산항에서 처리한 컨테이너 물량은 400만 TEU를 넘어섰다. 이는 전년 대비 약 16% 증가한 수치로, MSC의 물동량이 꾸준히 성장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성장은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한 물류 시스템 혁신이 중요한 역할을 한 것으로 분석된다. 부산항은 2023년 세계 최초로 블록체인 기반 환적운송시스템(TSS,Transshipment Shipping System)을 도입하여 화물 운송의 효율성을 극대화했다.이 시스템은 항만 관계자 간 실시간 정보 공유를 통해 환적 화물을 보다 신속하게 배분하고, 트럭과컨테이너를 그룹 단위로 관리함으로써 유연한 화물 처
△인천신항 전경[사진=인천항만공사] 인천항이올해 컨테이너 물동량에서 역대 최대치를 기록하며 국내 항만 물류의 새 역사를 쓸 전망이다. 지난 12일 인천항만공사(IPA)는 올해 인천항의 컨테이너 물동량이 353만TEU(1TEU는 20피트컨테이너 1대분)에 이를 것으로 예측된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해 기록한 역대 최대치 346만TEU를 넘어선 수치이며, 올해 연간 목표치인 350만TEU를 초과 달성하는 성과다. 인천항은국내 민간소비 부진, 중동 지역 분쟁으로 인한 해상운임 변동성 확대,중고차 물동량 감소 등 어려운 여건에도 불구하고 수출입과 환적 등 모든 부문에서 물동량 증가를 기록했다. 특히 중국과베트남 등 주요 교역국과의 물동량이 확대되며 이번 성과를 이끌었다. 올해 대중국 물동량은 전년 대비 6.2% 증가했다. 이는 미국의 대중국 관세 부과를 앞두고 발생한교역 집중 효과와 엔데믹 이후 포트세일즈 활동 강화를 통한 결과로 풀이된다. 수출 부문에서는기계류, 잡화, 섬유, 플라스틱·고무류의 물동량 증가가 두드러졌으며, 수입 부문에서는 전자기기, 목재, 플라스틱·고무류, 잡화 등이 주요 품목으로 자리 잡았다. IPA는 상하이와 호치민 등 해외 사무소와 협력해 사무
△뉴저지주 엘리자베스의 뉴욕항과 뉴저지항에 컨테이너선이 정박하고 있다. [사진=AP] 미국의양대 항만 노조 중 하나로 꼽히는 국제항만노동자협회(International Longshoremen’sAssociation, ILA)가 47년 만에 파업에 돌입할 가능성이 커지면서 관련 업계에긴장감이 감돌고 있다. 파업이 현실화될 경우, 미국뿐만 아니라글로벌 공급망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ILA는 미국해운연합(USMX)과의 새로운 단체협약을 오는 30일까지 체결하지 못할 경우파업을 시작할 것이라고 밝혔다. ILA는 지난 2018년 USMX와 ‘마스터 계약’을체결하며 항만 자동화에 대한 기준을 설정했으나, 최근 자동화 로봇 시스템의 도입 문제로 협상이 결렬되었다. ILA는 항만 운영사인 APM 터미널과 그 모회사인 해운사 머스크가자동 게이트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한 후, 지난 6월예정된 협상을 취소했다. ILA는 미국 대서양 연안 14개 항구에서 근로하는 수만 명의 노동자가 가입된노조로, 이 항구들은 미국 전체 수입량의 약 절반을 처리하고 있다. 만약파업이 시작될 경우 미국 수입 물량의 43~49%가 영향
△8일 부산신항 5부두에서 국내 최초로 LNG(액화천연가스) 추진 컨테이너 선박에 ‘선박 대 선박’(ship to ship, STS) 방식의 ‘LNG 선박 공급(벙커링) 및 하역 동시작업’ 실증이성공적으로 이루어졌다. [사진=해양수산부] 해양수산부는국내 최초로 LNG(액화천연가스) 추진 컨테이너 선박에 '선박 대 선박'(Ship to Ship, STS) 방식의 'LNG 선박 공급(벙커링) 및하역 동시작업' 실증을 성공적으로 완료했다고 9일 밝혔다. 이번 실증은해양수산부, 부산항만공사(BPA), 선사, 하역사, 항만운영사 관계자가 참여한 가운데 지난 8일 오후 부산항 신항 5부두에서 진행됐다. 이날 한국엘엔지벙커링㈜의 벙커링 전용선이 LNG 270톤을 아시아-일본 항로 컨테이너선(CMA CGM, 2000TEU급)에 공급했다. 한국엘엔지벙커링㈜는‘항만 내 친환경 선박연료 공급 실증’ 사업자로 지정되어 이번 작업을 수행했다. 특히 해수부는이번 실증을 위해 선박 입출항료를 면제하고, 관계기관 협의체 운영을 통해 하역-LNG 벙커링 동시작업 관련 안전 제도를 점검했다. 해수부관계자는 “이번 실증을 통해 부산항은 국제적으로 수요가 높은 'LNG추진 컨테이너 선박의 벙커
△포스코인터내셔널 광양 제1LNG 터미널 전경. [사진=포스코인터내셔널] 포스코인터내셔널이 20년 가까운 공사 끝에 전라남도 광양시에서 '광양 제1LNG(액화천연가스) 터미널'을종합 준공했다. 이로써 포스코인터내셔널은 천연가스의 하역, 저장, 기화, 송출에 이르는 종합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하게됐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오늘 광양1터미널 준공식을 개최했다. 이 터미널은 2002년 착공하여 2005년 첫 번째 저장 탱크를 가동한 이후, 계획에 따라 관련 설비를 순차적으로 확장해 왔으며, 총 1조 450억 원이 투입되었다. 이번준공으로 광양1터미널은 1호기부터 6호기까지 총 93만 킬로리터(㎘)의 LNG 저장 용량과 18만m³급 항만 설비를 갖추게 되었다. 특히 5, 6호기 저장탱크에는 포스코가 세계 최초로 개발한 '극저온용 고망간강'이 적용되었다. 이 소재는 LNG를영하 162도 이하의 극한 환경에서도 충격에 강하고 높은 강도를 유지하는 특징이 있다. 광양1터미널은 국가 기간산업을 위한 발전용 천연가스 공급뿐 아니라 포스코, 에쓰오일, SK E&S 등 국내 에너지 기업들이 직도입한 천연가스를 하역, 저장, 기화, 송출하는 종합 서비스를 제공할
△2024 글로벌리더선정식에서 대상을 수상한 YGPA 박성현 사장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사진=여수광양항만공사] 여수광양항만공사(YGPA, 사장 박성현)는 2024대한민국 글로벌리더대상에 YGPA 박성현 사장이 선정되었다고 지난 11일 밝혔다. 대한민국글로벌리더 대상은 매경미디어 그룹이 주최하고 기획재정부, 산업통상자원부, 대한상공회의소 등이 후원하는 영예로운 상으로, 국내뿐만 아니라 미국, 헝가리, 베트남 등 세계 각지에서 대한민국의 위상과 브랜드 가치를높이 세워 국가발전의 선진화와 세계일류 국가 도약에 이바지하는 리더에게 주어진다. 박성현사장은 '국민과 함께하는 스마트 종합항만'이라는 비전 아래고객 최우선, 지역과 상생이라는 경영방침을 토대로 여수광양항과YGPA, 지역의 발전을 위해 다양한 사업들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특히, 2023년에는 대한민국 소통어워즈 공공부문 대상, 국제항만협회(IAPH) 안전·환경분야 최우수항만2관왕 등 굵직한 대외성과를 창출하며 광양항 자동차 천만대 처리, 수출입 물동량 1위 항만의 위상을 지키는 등 '발로 뛰는 영업'이라는 본인의 경영방침을 충실히 이행하고 있다. 또한, 박성현 사장은 본업과 ESG 경영의 긴밀한 연계
△Hapag-Lloyd와 Maersk는 2025년 2월에 시작될 "Gemini Cooperation"이라는 새로운 장기 운영 협력을 위한 계약을 체결했다. [사진=Hapag-Lloyd] 세계 2위 컨테이너 해운사인 덴마크 머스크와 세계 5위 컨테이너 해운사독일 하팍로이드가 주도하는 새로운 글로벌 해운동맹 ‘제미나이 협력(Gemini-Cooperation,이하 제미나이)’가 내년 2월 공식 출범한다. 이는 글로벌 제조 및 생산의 중심지였던 ‘한국, 중국, 일본, 대만’ 등 동북아시아 4국 시대가 저물고 있다는 신호로 해석되고 있다. 지난 29일 해운업계에 따르면, 제미나이는 기존 해운동맹의 항구 기항 방식에서벗어나, 국제 허브항(Hub-and-Spoke) 중심의 새로운기항 방식을 채택할 예정이다. 이로 인해 해상운송 네트워크는 축소되지만, 허브항과 조인트셔틀 및 피더 항구를 연동하여 출발과 종점 항은 줄이고 중간 허브항은 확대함으로써 네트워크의효율성을 극대화할 계획이다. 제미나이가선정한 아시아 지역 허브항에는 세계 1위인 중국 상하이 양산항, 3위닝보-저우항, 2위 싱가포르항, 그리고 15위 말레이시아 탄중 팔레파스항이 포함된다. 반면, 7위 부산항, 9위홍콩
△[사진=한진] 한진이새로운 항로를 유치하여 항만 사업 경쟁력을 높이고 있다. 한진의 자회사인 한진부산컨테이너터미널(HJNC)은 오는 5월부터 SM상선의 2개 북미 노선에 대한 항만 물류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SM상선의 CPX(CHINA PACIFIC EXPRESS) 서비스에는 6500TEU급 선박 6척이 투입되며, 기항지는 청도, 상해, 닝보, 부산, 롱비치, 포틀랜드, 부산, 광양, 청도 순이다. 또한 PNS(PACIFIC NORTHWEST SERVICE) 서비스에는 4300TEU급 선박 6척을 투입하여 옌텐, 닝보, 상해, 부산, 밴쿠버, 시애틀, 부산, 옌텐을 연결한다. 이러한 서비스는 모두 SM상선의 선박으로만 운영되는 단독 노선이다. 한진은국내 최대 컨테이너 터미널 운영사로서 부산과 인천, 평택, 베트남의국내외 4개 터미널과 의왕, 중부 등 7개 내륙기지 및 전국 내륙운송 네트워크를 통해 일괄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또한, 2만TEU급 이상 초대형 선박 접안이가능한 장비와 최첨단 시스템을 갖추고 국제 항만 보안 및 안전기준을 적용하여 컨테이너선 대형화 추세에 맞추고 있다. 이로 인해한진의 터미널 운영 사업 매출은 2021년 2489억원, 20
△전남 광양항 컨테이너부두 전경. [사진=여수광양항만공사] 여수광양항만공사가지난 3일, 장금상선의 최신 컨테이너 서비스인 PCI2(Pusan China Indonesia service 2)가 광양항으로 유치되었다고 발표했다. 이번 서비스는장금상선이 운영하는 동남아 지역 서비스로, 1800TEU급 선박 4척이투입될 예정이다. 이로 인해 주당 약 200TEU의 물량을처리하며, 연간 1만TEU이상의 광양항 물동량이 예상된다. 최초 투입선박인 SWASDEE MIMOSA호는 지난달 18일 광양항에입항했으며, 이후 28일 주기로 광양항을 방문할 예정이다. 기항지는 부산-울산-광양-상해-자카르타-선전-샤먼-상해-부산으로 결정되었다. 항만공사는광양항 컨테이너부두 활성화를 위해 전사적인 노력을 기울인 결과 항만 배후부지의 속도감 있는 개발뿐만 아니라, 고객최우선경영방침 실현을 바탕으로 항만생산성 증대 등 실질적 항만 서비스 제고에 노력하고 있기에 지속적으로 항로가 늘어나고 있다는 분석이다. 한편, 광양항은 2022년 말 주당77.5항차에서 작년 82항차로 항로연계성이 크게 개선돼UN에서 발표하는 항로연계성 지수가 4분기 연속 상승하고 있으며, 이는 세계 900개 항만 중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