벌크선이 프로젝트 화물 시장에 진출함에 따라 경쟁이 심각해지고 있다. 가브리엘레 카루바는 벌크선이 장기적으로 프로젝트 화물 시장에 머물며 시장의 상황을 악화시킬 것이라 주장했지만 그에 반박하는 의견도 제기되고 있다. 벌크선, 프로젝트 화물 시장에 진출 장기적으로 벌크선은 프로젝트 화물을 운송할 것이며 해상 운송 노선의 중량화물선을 압박할 것이라고 가브리엘레 카루바(Gabriele Carruba) THB 물류회사(THB Shipping and Logistics) 런던 지점장이 말했다. 또, 카루바는 벌크 시장의 화물이 회복된 후엔 많은 수프라막스 및 울트라막스 선박은 계속해서 비료 같은 전통적인 화물을 트럭과 풍력발전기 같은 크고 무거운 화물과 결합시킬 것이라고 최근 브레멘 프로젝트 물류 전문가 포럼에서 말했다. 특히, 카루바는 포럼에서 “벌크선은 프로젝트 화물 분야에 본격적으로 진출하고 있다“라고 약 150명의 참석자 앞에서 말했다. 그렇기 때문에 일부 브레이크 벌크 업체는 시장과 노선을 포기해야 할지도 모른다고 주장했다. 일부 새로 주문한 벌크선은 이미 최대 50톤 리프팅 용량의 크레인, 연기 감지기 및 기계 펜을 장착하고 있으며 프로젝트 물류의 추가 비즈
택배기사 A씨는 3인 1조로 돌아가며 하루는 7시, 이틀은 10시까지 터미널에 간다. 사흘 중 이틀 아침은 고스란히 자신을 위해 사용할 수 있는 개인시간이 된 것이다. 한결 여유로워진 아침시간을 이용해 자녀 등교를 돕는 것은 물론 가사분담도 하고, 개인용무도 볼 수 있다. 고소득에 삶의 여유까지 챙길 수 있게 된 A씨는 진지하게 택배기사 ‘직업 대물림’을 고려 중이다. 택배기사 B씨는 터미널에서 작업하면서 여유롭게 오늘의 배송량을 체크하고 고객 문의에 응대하고 있다. 자동분류기가 B씨가 배송해야 할 상품들을 알아서 분류해주니 여유시간이 생긴 것. B씨는 “지금까지 10년간 택배 일을 하고 있지만, 완전히 새로운 경험”이라며 “배송 준비시간 단축으로 배송에 더 집중할 수 있어 고객들의 반응도 좋아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택배현장에 ‘휠소터’ 도입이 본격화되면서 택배기사의 생활이 달라지고 있다. CJ대한통운은 지난 19일 부산광역시 사하구 장림동에 위치한 택배 터미널에 화물 자동 분류장치인 ‘휠소터’를 100번째로 설치했다고 22일 밝혔다. ‘휠소터(Wheel Sorter)’란 택배 상품에 부착된 송장의 바코드를 빠르게 인식한 후 컨베이어벨트 곳곳에 설치된 소형
청정 북극 동맹의 수석 고문인 Sian Prior 박사는 2030년 지속 가능한 개발 목표와 관련하여 화요일 유럽 의회의 국제 해양 거버넌스 표결에 앞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Clean Arctic Alliance는 북극 해운에 의한 중유 연료 탱크 (HFO) 사용 및 운송 금지에 대한 긴급한 필요성에 대한 해양 거버넌스 결의안의 승인을 환영하며, 우리는 유럽의회 의원들에게 찬성 투표를 촉구합니다. 북극에서 전례가 없는 수준의 온난화가 발생하고 극적인 속도로 해빙이 물러나고 있는 이 지역은 증가된 해운의 시대를 맞이하고 있습니다. 2017년에 국제해사기구는 중유 연료 퇴출을 향한 움직임을 시작했습니다. 즉, 북극 해운의 기후 강제력에 대한 기여도를 줄이고 연료 유출과 관련된 위협을 줄여야 하는 행동입니다. 중유 연료와 북극 생태계는 양립할 수 없습니다. : 이제 우리는 지금부터 북극에서 중유 연료의 사용을 금지해야 합니다! " 라고 밝혔다. 2015년의 수치는 북극에서 운영하는 선박의 절반 미만이 (44 %)이 중유 연료 (HFO)를 사용하고 있음을 보여 주지만, 중유 연료로 작동하는 선박은 대체로 대형 선박이기 때문에 실상 현재 북극에서 벙커로서 운송되는
청정 북극 동맹의 수석 고문인 Sian Prior 박사는 2030년 지속 가능한 개발 목표와 관련하여 화요일 유럽 의회의 국제 해양 거버넌스 표결에 앞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Clean Arctic Alliance는 북극 해운에 의한 중유 연료 탱크 (HFO) 사용 및 운송 금지에 대한 긴급한 필요성에 대한 해양 거버넌스 결의안의 승인을 환영하며, 우리는 유럽의회 의원들에게 찬성 투표를 촉구합니다. 북극에서 전례가 없는 수준의 온난화가 발생하고 극적인 속도로 해빙이 물러나고 있는 이 지역은 증가된 해운의 시대를 맞이하고 있습니다. 2017년에 국제해사기구는 중유 연료 퇴출을 향한 움직임을 시작했습니다. 즉, 북극 해운의 기후 강제력에 대한 기여도를 줄이고 연료 유출과 관련된 위협을 줄여야 하는 행동입니다. 중유 연료와 북극 생태계는 양립할 수 없습니다. : 이제 우리는 지금부터 북극에서 중유 연료의 사용을 금지해야 합니다! " 라고 밝혔다. 2015년의 수치는 북극에서 운영하는 선박의 절반 미만이 (44 %)이 중유 연료 (HFO)를 사용하고 있음을 보여 주지만, 중유 연료로 작동하는 선박은 대체로 대형 선박이기 때문에 실상 현재 북극에서 벙커로서 운송되는
Commenting ahead of Tuesday’s European Parliament plenary vote on international ocean governance, relating to the 2030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Dr Sian Prior, lead advisor to the Clean Arctic Alliance, said: “The Clean Arctic Alliance welcomes the recognition within the ocean governance resolution of the urgent need to agree a ban on the use and carriage in fuel tanks of heavy fuel oil (HFO) by Arctic shipping, and we urge MEPs to vote in favour of its adoption. With warming occuring at unprecedented levels in the Arctic, and sea ice is receding at a dramatic rate, the region is set for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는 국내 해양수산 분야에 대한 국민의 관심사와 동향을 파악하고자 소셜 미디어를 대상으로 빅데이터 분석을 실시했다. 해양수산과 관련된 키워드의 관심도, 호감도, 연관어 분석을 통해 국민의 정책 수요를 파악하고 이를 참고하여 정책 시행의 국민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2017년 SNS 속 해양수산 키워드 언급량 분석 결과에 따르면 수산물이 29만 18,43건으로 54.6%를 차지하며 2016년과 마찬가지로 총 24개 키워드 중 압도적인 1위를 기록했다. 2016년에는 한진해운 사태의 여파로 해운이 2위를 차지한 반면에 2017년에는 독도가 2위를 차지했다. 호감도 분석 결과에서는 13개 키워드에서 긍정적인 반응이 증가하고 11개 키워드에서 부정적인 반응이 감소하는 등 해양수산에 대한 전체적 호감도가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17년 새 정부 출범 이후 해운산업 재건이 국정과제로 채택되고 관련 정책이 추진됨에 따라 국민들의 정부 정책에 대한 기대감이 증가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해양수산 관련 키워드는 ‘해양’, ‘수산’, ’해운항만’의 세 분야로 나누어 분석되었다. 해양분야는 키워드별로 특정 산업 및 정책,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는 국내 해양수산 분야에 대한 국민의 관심사와 동향을 파악하고자 소셜 미디어를 대상으로 빅데이터 분석을 실시했다. 해양수산과 관련된 키워드의 관심도, 호감도, 연관어 분석을 통해 국민의 정책 수요를 파악하고 이를 참고하여 정책 시행의 국민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2017년 SNS 속 해양수산 키워드 언급량 분석 결과에 따르면 수산물이 29만 18,43건으로 54.6%를 차지하며 2016년과 마찬가지로 총 24개 키워드 중 압도적인 1위를 기록했다. 2016년에는 한진해운 사태의 여파로 해운이 2위를 차지한 반면에 2017년에는 독도가 2위를 차지했다. 호감도 분석 결과에서는 13개 키워드에서 긍정적인 반응이 증가하고 11개 키워드에서 부정적인 반응이 감소하는 등 해양수산에 대한 전체적 호감도가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17년 새 정부 출범 이후 해운산업 재건이 국정과제로 채택되고 관련 정책이 추진됨에 따라 국민들의 정부 정책에 대한 기대감이 증가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해양수산 관련 키워드는 ‘해양’, ‘수산’, ’해운항만’의 세 분야로 나누어 분석되었다. 해양분야는 키워드별로 특정 산업 및 정책,
SM상선이 미주 노선을 신규 개설한다. SM상선은 미주 서안 북부에 신규 노선을 개설한다고 지난 17일 밝혔다. 시기는 5월 첫 주가 될 예정이다. PNS로 명명될 신규 노선에는 4,000TEU 급 선박 6척이 투입될 예정이다. 기항지는 얀티얀-닝보-상하이-부산-밴쿠버-시애틀-도쿄-부산-광양-얀티얀 순이다. SM상선은 미국 시애틀 및 캐나다 현지에 영업 조직을 갖추는 작업도 최근 모두 끝마쳤다고 밝혔다. 이번 서비스 개설로 미주 서비스 확장을 요구하는 고객들의 기대에도 부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미 동부 노선은 파나마 운하 확장에 따라 글로벌 선사들이 대형 컨테이너 선박들을 전환 배치하는 추세로 과잉 공급이 예상돼 조금 더 추이를 지켜본 뒤 개설하기로 결정했다. 국내외 선사들과 협력 가능성은 계속 열어둔다는 입장이다. 특히, 현대상선과는 공동운항 등 원가 구조를 개선하는 방법으로 양사가 윈-윈(WIN-WIN)할 수 있는 방법을 계속 논의할 것이라고 밝혔다. SM상선 관계자는 “공동운항과 관련해 당사의 사업 경쟁력에 의문을 품는 의견도 있으나 이는 사실과 다르다.”라며 “이미 국내 6개 선사 및 해외 8개 선사와 공동운항을 비롯한 협력을 진행하면
Korea P&I Club은 선박 무재해운동의 일환으로 지난해 11월부터 ‘P&I 사고와 교훈’ PART 1 충돌사고 편을 발간하기 시작하여 금년 1월까지 사고 유형별로 총 6편을 발간 완료했다. 이 사고예방자료는 E-Book 형식으로도 제작되었는데 별도의 프로그램 설치가 필요 없어 인터넷이 안되는 선박에는 다운로드 후 파일을 보내주면 된다고 한다. ‘P&I 사고와 교훈’은 선박운항과 관련된 위험예지(작업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위험 요인을 발견·파악하여 그에 따른 대책을 강구하고 작업이 시작되기 전에 위험요인을 제거함)훈련을 도울 수 있는 사고 사례 및 교훈을 제공하여 현장실무자들이 P&I 사고 위험에 대해 미리 알고 대처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P&I 사고와 교훈’은 지난 17년간 Korea P&I Club 가입선박에서 발생한 P&I 사고들을 유형별(충돌사고, 화물사고, 오염사고, 인명사고, Property 사고, 기타사고)로 삽화를 통하여 안내하고 있어 다양한 연령층 및 직급의 선원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했다. 본 사고예방자료는 Korea P&I Club의 홈페이지(www.k
현대상선이 IT부문 경력사원 공채를 지난 18일 실시했다. 현대상선은 이번 공채를 통해 IT 핵심인력을 적극 확보, 글로벌 해운업계 전반적으로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는 IT부문의 경쟁력을 대폭 강화할 계획이다. 또한 중장기 선대확충에 대비한 차세대 플랫폼 개발과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사이버 테러에 대한 정보보안 강화도 진행할 방침이다. 모집부문은 비즈니스 분석 전문가,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머, 인프라 구축/운영 전문가, 정보보안 부문이며 서류접수 마감은 이번 달 24일 오후 5시까지다. 일정 등 자세한 내용은 현대상선 채용 홈페이지(recruit.hmm21.com)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현대상선 관계자는 “이번 공채는 외부 환경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신기술 도입을 위한 것”이라며 “향후 해운업계에 본격적으로 적용될 4차 산업혁명 및 디지털화 등을 선도해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한편 현대상선은 지난해 1월 한진해운 직원 채용, 5월 경력직원 공채를 진행했으며 11월에는 신입사원 공채를 진행한 바 있다.
인천-웨이하이, 인천-칭다오 카페리 항로를 운영하고 있는 위동항운유한공사가 한중카페리업계 최초로 중국 4A 물류기업 인증을 취득했다. 위동항운은 작년 9월부터 총 27개 항목의 서류심사와 중국물류구매연합회(China Federation of Logistics & Purchasing, CFLP) 평가심사팀의 엄격한 현장 심사를 거쳐 지난 1월 9일 인증을 취득했다. 이번에 위동항운이 취득한 A급 물류기업 인증은 중국 국가질량감독검험검역총국(AQSIQ)과 국가표준화관리위원회(SAC)에서 비준, 공표한 제도로서, <물류 기업분류 및 평가표준>에 따라 기업경영상황, 자산상황, 설비시설, 관리 및 서비스, 직원 자질, 정보화 수준 등 6개 항목, 18개 지표를 통해 기업의 자질을 평가하는 국가급 물류기업 종합평가 인증제도이다. 지난 2014년과 2015년, 업계 최초로 안전분야 인증인 중국 안전생산표준화 3개부문(해상운송, 육상운송, CY물류) 1등급 인증을 취득한 위동항운은 이번 인증 취득을 통해 한중카페리업계 최초이자 중국 웨이하이시 최초의 4A 물류 기업 인증 취득이라는 영예를 더하게 되었다. 또한 이번 인증을 통해 국가로 부터 회사의 경영수준
최근 늘어나고 있는 사이버 공격의 위협을 덴마크 해운회사들은 주요 문제로 생각하고 있다. 특히, 2017년 여름 있었던 A. P. 몰러 머스크에 대한 사이버 공격 이후 해커가 수백만의 손실을 일으킬 수 있음이 확실히 드러났다. 덴마크 해운협회의 자체 조사에 의하면 2017년 덴마크 해운회사 중 3분의 2가 범죄적인 방식으로 네트워크 침입 시도를 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IT 보안 예산을 늘리는 선사 덴마크 해운회사 최고위 임원 37명으로 구성된 이른바 선주 위원회의 설문에서 응답자 중 26명이 사이버 공격의 표적이 되는 것에 깊은 우려를 표명했다. 예측되는 사이버 공격의 유형으로는 IT 보안을 매체로 한 협박이나 데이터를 조작하여 심각한 손실을 입히는 것 등이 있다. 응답한 26명이 소속된 해운회사는 덴마크 해운회사 중에서 덴마크 선적 상선의 79퍼센트를 차지하고 있다. 이 설문 조사 기간은 2017년 11월 2일부터 15일까지였다. 머스크라인에 대한 공격 이후 다른 해운회사들도 사이버 공격에 대한 대비를 하고 있으며, IT 보안 예산을 늘리고 있다. 머스크라인은 증가할 사이버공격에 대비한다 특히 공격을 받았던 머스크 라인의 경우에는 컴퓨터 시스템 보안에 대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