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해양수산개발원과 광주전남연구원은 양 기관의 주요 간부들이 참석한 가운데 지난 5일 여수 오동재 한옥호텔 1층 세미나실에서 상호 연구교류 및 협력에 관한 협약을 체결했다. 이날 양 기관은 해양수산 관련 분야의 연구교류 활성화와 상호 연구역량 및 경쟁력 강화를 통해 국가 및 지역발전에 기여하고자 상호 협력하기로 합의했다. 협약 내용은 연구의 시너지 효과를 높이기 위한 공동연구 및조사 시행, 세미나·워크숍·학술행사 등의 공동 개최와 지역사회를 대상으로 한 연구 성과와 정책 홍보활동의 공동 수행 추진, 그리고 학술정보 등의 정보자료와 연구진 인적자원 상호 교류 활성화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KMI는 이번 협약 체결을 통해 해양수산 분야 전라남도 지역현안과 발전정책을 발굴하여 중앙정부의 해양수산 정책 수립을 지원함으로써 해당 지역 전략산업 육성 및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고, 또한 국가균형발전에 기여하고자 구성된 ‘해양수산 전국포럼’의 운영 및 활동을 위해 필요한 전남지역 협력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앞으로 공동연구 등의 연구협력활동이 활발히 추진될 것으로 평가했다. 양 기관의 오전 협약 체결과 함께 오후에는 3개 기관(KMI, 광주전남연구원, 국토연구원)이 공동으로
해양부는 우리나라가최근 영국 런던 국제해사기구(IMO) 본부에서 열린 제30차 총회에서 A그룹(주요 해운국) 이사국 9회 연속 진출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이사회 내에서 논의를 주도하는 A그룹 이사국은 해운분야 기여도가 높은 나라 중 회원국 투표를 통해 선정된다. 우리나라는 1991년부터 지역을 대표하는 C그룹 이사국에 진출해 5회 연임했고, 2001년부터 9회 연속 A그룹 이사국으로 선출되어 약 30년 간(1991~2019) 이사국 지위를 유지하게 되었다. 그간 우리나라는 IMO 이사국으로서 회원국 협약 이행 독려 및 동반성장 추진, 이내비게이션(e-Navigation)·친환경 선박 등 해사분야 기술 개발을 선도해 왔다. 그 결과 지난 2015년 IMO 사무총장을 배출하고 이번 회의에서 다시 A그룹 이사국으로 선출되는 등, 해사분야 발전에 기여한 성과를 국제사회에서 인정받고 있다. 우리나라는 오는 2019년까지 A그룹 이사국으로서 활동하며 IMO의 사업·인사·예산 관련 주요사항을 결정하게 된다. 해운·조선·기자재 등 국제규범 제·개정 시 우리의 입장을 적극 반영하는 한편, 국가 위상을 높이는 데도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오운열 해양부 해사안전국장은
국내 물류기술 분야 전문가들로 구성되어 있는 미래물류기술포럼(NeLT)의 2017년을 마무리 하는 종합세미나가 오는 8일 서울 무역센터 트레이드 타워 51층 대회의실에서 개최된다. 이번 세미나는 ‘4차 산업혁명과 물류’라는 주제 하에 물류기업이 필요로 하는 2018년 미래 유망 물류기술을 전망해보고, 물류산업에 어떻게 활용될 것인지 토론할 수 있는 자리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국제 세미나는 미래물류기술포럼과 한국해양수산개발원, 한국무역협회가 주최하고 해양수산부와 국토교통부가 후원하고 있으며, 한국철도기술연구원·국토연구원·한국교통연구원·부산대학교·한경대학교·한국해양과학기술진흥원·한국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의 공동 주관으로 개최된다. 본 세미나의 초청강연에서는 삼성SDS 양영태 그룹장이 ‘블록체인과 물류’라는 주제로 최근 결성된 블록체인 컨소시엄이 협력하여 수행한 성공적인 시범사업 결과를 발표한다. 특히 미래물류기술 포럼에서는 251개 물류기업을 대상으로 한 면담 및 설문조사를 통해 발굴된 “2018 물류기업 기술 수요조사” 결과를 KMI의 최상희 실장이 발표한다. 그리고 물류기업의 4차 산업혁명 기술 개발 및 사업화 사례를 B&R Automation의
인천-웨이하이, 인천-칭다오 카페리 항로를 운영하고 있는 위동항운유한공사 임직원 일동은 지난 1일 인천 중구 북성동 일원에서 ‘사랑의 연탄나누기 행사’를 실시했다고 4일 밝혔다. 위동항운 최장현 사장 및 임직원 30여명은 인천사무소 인근지역인 북성동의 좁고 구불구불한 골목길을 분주히 오르내리며, 직원들이 사랑으로 준비한 연탄 2,000장을 사랑의 손길이 필요한 이웃들에게 손수 전달했다. 직원들과 함께 연탄 배달에 나선 최장현 사장은 “경제가 어려운 올해도 연탄나누기 행사를 통해 직원들과 함께 어려운 이웃들을 찾아 뵙고 도움을 드릴 수 있어 감사하다.”며“오늘 우리가 전달하는 사랑이 추운 겨울을 보내는 분들께 따뜻한 온기로 전해지기를 희망하며, 앞으로도 다양한 활동을 통해 지역 사회에 기여하고자 한다.”라고 밝혔다. 한편 위동항운은 지속적으로 사회공헌활동을 전개하며 사회적 책임을 다하고 있다. 매년 실시하고 있는 연탄 배달 외에도 벽화그리기 행사, 인근지역 정화활동 등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다양한 봉사활동과 함께, 매년 매칭그랜트 방식을 통한 성금기탁과 떡국 행사 등 독거노인 지원, 각종 기부사업, 청소년 문화사업 등 다양한 방식의 사회공헌활동을 통해 지역사회
물류 산업은 독일 니더작센 주 지역에서 많은 일자리를 제공하는 산업 중 하나이다. 불빈게자 주식회사(Bulwiengesa AG)에서 발간한 “2017년 물류 및 부동산”에 의하면 올해 독일 전역에서 이 지역은 물류 산업이 13위에서 9위로 제일 큰 성장을 기록했다. 독일 물류 지역 28곳 가운데 선두는 프랑크푸르트가 차지했다. 뮌스터/오스나브뤼크를 이끄는 동력은 수요에 따른 동적인 성장이다. “2017년 물류 및 부동산”에 따르면 사회경제 및 지역 경제적인 주변 환경이 확실히 개선되고 있다. 학교와의 협력 전문 인력 교육 및 재교육에 관한 다양한 대책은 이 지역에서 시행되고 있다. 이 대책의 중심에는 전문 인력 확보를 위한 지역 시스템의 개선과 실업자를 위한 재교육, 현재 일하는 사람들을 위한 재교육이 있다. 또 고등학생과 대학생에게 물류 산업을 경험할 수 있게 하기 위해, 또 물류 산업이 투명하고 매력적으로 보이도록 하기 위해 고등학교와 대학교, 연구소 등과 다양한 협력 관계를 맺고 있다. 또, 북서 전문 인력 연합을 후원하고 있다. 니더작센 주 경제에 필요한 전문 인력 확보를 위해 중요한 분담금을 제공하며 2018년까지 지원 경비 2백만 유로를 후원할 예
물류 산업은 독일 니더작센 주 지역에서 많은 일자리를 제공하는 산업 중 하나이다. 불빈게자 주식회사(Bulwiengesa AG)에서 발간한 “2017년 물류 및 부동산”에 의하면 올해 독일 전역에서 이 지역은 물류 산업이 13위에서 9위로 제일 큰 성장을 기록했다. 독일 물류 지역 28곳 가운데 선두는 프랑크푸르트가 차지했다. 뮌스터/오스나브뤼크를 이끄는 동력은 수요에 따른 동적인 성장이다. “2017년 물류 및 부동산”에 따르면 사회경제 및 지역 경제적인 주변 환경이 확실히 개선되고 있다. 학교와의 협력 전문 인력 교육 및 재교육에 관한 다양한 대책은 이 지역에서 시행되고 있다. 이 대책의 중심에는 전문 인력 확보를 위한 지역 시스템의 개선과 실업자를 위한 재교육, 현재 일하는 사람들을 위한 재교육이 있다. 또 고등학생과 대학생에게 물류 산업을 경험할 수 있게 하기 위해, 또 물류 산업이 투명하고 매력적으로 보이도록 하기 위해 고등학교와 대학교, 연구소 등과 다양한 협력 관계를 맺고 있다. 또, 북서 전문 인력 연합을 후원하고 있다. 니더작센 주 경제에 필요한 전문 인력 확보를 위해 중요한 분담금을 제공하며 2018년까지 지원 경비 2백만 유로를 후원할 예
물류 산업은 독일 니더작센 주 지역에서 많은 일자리를 제공하는 산업 중 하나이다. 불빈게자 주식회사(Bulwiengesa AG)에서 발간한 “2017년 물류 및 부동산”에 의하면 올해 독일 전역에서 이 지역은 물류 산업이 13위에서 9위로 제일 큰 성장을 기록했다. 독일 물류 지역 28곳 가운데 선두는 프랑크푸르트가 차지했다. 뮌스터/오스나브뤼크를 이끄는 동력은 수요에 따른 동적인 성장이다. “2017년 물류 및 부동산”에 따르면 사회경제 및 지역 경제적인 주변 환경이 확실히 개선되고 있다. 학교와의 협력 전문 인력 교육 및 재교육에 관한 다양한 대책은 이 지역에서 시행되고 있다. 이 대책의 중심에는 전문 인력 확보를 위한 지역 시스템의 개선과 실업자를 위한 재교육, 현재 일하는 사람들을 위한 재교육이 있다. 또 고등학생과 대학생에게 물류 산업을 경험할 수 있게 하기 위해, 또 물류 산업이 투명하고 매력적으로 보이도록 하기 위해 고등학교와 대학교, 연구소 등과 다양한 협력 관계를 맺고 있다. 또, 북서 전문 인력 연합을 후원하고 있다. 니더작센 주 경제에 필요한 전문 인력 확보를 위해 중요한 분담금을 제공하며 2018년까지 지원 경비 2백만 유로를 후원할 예
부산항만산업협회, 한국선용품산업협회 및 부산국제선용품유통사업협동조합은 지난 2일 부산항의 주요 항만산업체 대표자 30명이 참석한 가운데 합동으로 ‘항만산업계 한마음 단합대회’를 개최했다고 4일 밝혔다. 이번 행사는 계속되는 해운·조선산업의 장기 불황으로 인해 침체된 부산지역 항만산업계의 분위기를 전환하고, 금년 한 해 동안의 업무성과를 평가하는 동시에, 앞으로 항만산업계 스스로가 튼튼한 자생력을 바탕으로 상호 결속을 강화하고 역량을 한데 모아 지금의 어려운 상황을 슬기롭게 극복하고, 부산지역의 항만산업이 더욱 활성화되고 국제경쟁력을 높여 나갈 수 있는 발전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이날 행사는 최근 경북 포항지역의 지진으로 인해 정신적 물질적으로 많은 어려움울 겪고 있는 포항시민들을 위로하고 경제적으로 조금이나마 도움을 드리게 위해 당초 목적지를 변경하여, 경북 포항시를 찾아 보경사 일원을 관람한 다음 인근에서 오찬간담회와 참석자 단합의 시간을 가진데 이어, 호미곶으로 이동하여 상생의 의미를 되새긴 뒤, 구룡포 전통시장을 방문하여 포항의 특산품인 과메기등을 구입한 후 부산으로 되돌아 오는 일정으로 마무리 지었다. 김영득 회장은 이날 단합대회의 인사말에
부산항만공사는 오는 5일, 오후 4시 부산항 국제전시컨벤션센터(BPEX) 5층 컨퍼런스홀에서 ‘2017 부산항 항만산업인의 밤’ 행사를 개최한다. 이번 행사는 항만산업계의 소통과 상생의 장 마련을 목적으로 2017년 해운항만 산업 종사자들의 노고에 감사의 마음을 전달하고 더 나은 2018년으로 도약하기 위해 마련했다. 해양수산부·부산시·해운항만산업 전 업계가 참석하여 항만연관산업 발전방안과 함께 자유로운 소통의 시간을 가질 예정이며, △2017년 컨테이너 물동량 처리실적 및 전망 △부산항 항만산업의 상생발전전략 주제의 발표로 구성된다. 또한, 개그맨 엄용수씨가 참석하여 ‘웃음이 희망이다’ 라는 주제로 특별강연을 실시하여 해운항만 업계의 지친 마음을 힐링하는 시간을 가지고 부산항 연관산업 발전에 헌신한 업체를 대상으로 공로패도 전달한다. 우예종 부산항만공사 사장은 “현재 부산항이 2,000만TEU 물동량 달성을 눈앞에 두고 있으며, 이는 한진해운 사태 이후 어려운 여건에도 불구하고 항만 연관산업 업계가 발로 뛴 결과물이라고 생각한다”며, “항만의 뿌리산업인 연관산업 업계를 지속적으로 지원하고 육성하여 고 부가가치 항만으로 거듭나도록 노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2017년을 얼마 남겨두지 않은 현시점에, 올해 중고 선박 판매량은 2007년 이후 가장 높은 연평균 수치를 보였다. 비록 이것이 올해 많은 분야에서 중고 가격이 낮은 수준에 머무르면서, 가치 측면에서 그다지 중요하지 않았지만 말이다. 판매 활동은 특히 벌크선 및 컨테이너선 분야에서 확고하고, 일반적인 선박 소유 국가들은 적극적으로 선박을 사고팔아왔다. 판매 및 구매 득점 2017년 11월까지, 2007년 이후 가장 큰 연례 수치이고 dwt의 측면에서 두 번째로 큰 것인 합계 79.4m dwt의 1,400척이 올해 중고 시장에서 판매되었다. 연간 단위로 dwt 측면의 총 볼륨이 가장 높은 연간 매출 수준이 된다. 그러나 이러한 판매 활동의 확고한 수준에도 불구하고, 가치적 측면에서 총매출액은 여전히 역사적으로 최고치를 밑돌아 왔으며, 총매출액은 194억 달러로 2007년수치보다 상당히 낮았고 2014-2015년 수준보다도 훨씬 낮다. 이것은 올해 Clarksons 중고시장가격 지수가 연평균 75점으로 1988년 이후 가장 낮은 수준으로 기록되었지만 올해는 상대적으로 낮은 중고 가격을 겪고 있는 수많은 선박 부문의 결과이며, 인덱스는 11월 초부터 다시 증가하
2017년을 얼마 남겨두지 않은 현시점에, 올해 중고 선박 판매량은 2007년 이후 가장 높은 연평균 수치를 보였다. 비록 이것이 올해 많은 분야에서 중고 가격이 낮은 수준에 머무르면서, 가치 측면에서 그다지 중요하지 않았지만 말이다. 판매 활동은 특히 벌크선 및 컨테이너선 분야에서 확고하고, 일반적인 선박 소유 국가들은 적극적으로 선박을 사고팔아왔다. 판매 및 구매 득점 2017년 11월까지, 2007년 이후 가장 큰 연례 수치이고 dwt의 측면에서 두 번째로 큰 것인 합계 79.4m dwt의 1,400척이 올해 중고 시장에서 판매되었다. 연간 단위로 dwt 측면의 총 볼륨이 가장 높은 연간 매출 수준이 된다. 그러나 이러한 판매 활동의 확고한 수준에도 불구하고, 가치적 측면에서 총매출액은 여전히 역사적으로 최고치를 밑돌아 왔으며, 총매출액은 194억 달러로 2007년수치보다 상당히 낮았고 2014-2015년 수준보다도 훨씬 낮다. 이것은 올해 Clarksons 중고시장가격 지수가 연평균 75점으로 1988년 이후 가장 낮은 수준으로 기록되었지만 올해는 상대적으로 낮은 중고 가격을 겪고 있는 수많은 선박 부문의 결과이며, 인덱스는 11월 초부터 다시 증가하
With two months of 2017 still to go, the number of secondhand sales this year has reached the highest annual level since 2007, even if this has not been the case in value terms, with secondhand prices hovering at low levels this year in many sectors. Sales activity has been particularly firm in the bulkcarrier and boxship sectors, and the usual owner nations have been actively buying and selling vessels. Sale And Purchase Swarm As of start November 2017, 1,400 vessels of a combined 79.4m dwt have been sold on the secondhand market this year, the largest annual number since 2007 and the seco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