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9일, 하팍로이드는 미 정부에 벌금 2백만 달러를 납부하기로 연방해사위원회(Federal Maritime Commission, FMC)와 합의했다고 밝혔다. 올해 4월 미 행정법원은 “하팍로이드가 미 해운법 제41102조 c항을 위반하였기에 벌금을 부과하며, 사전 협의 없는 체화료(Demurrage)나 지체료(Detention)를 부과하는 행위 등 현재 진행 중이거나 혹은 향후 발생할 위법행위를 중단 및 방지할 것을 명한다.”고 판시하였다. 이에 따라 FMC와 하팍로이드는 5월 중순 위 벌금에 합의했으며, 지난 6월 8일 수요일 FMC가 합의안을 승인했다고 전해진다. 판결의 근거인 미 해운법 제 41102조는 해상운송에 있어 위법행위를 규정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c항은 “운송업자, 항만터미널 또는 해상운송중개인은 물품의 수령, 취급, 보관, 운송에 있어 공정하고 합리적인 규정과 관행을 확립하고 준수하며 또한 시행해야 한다.”는 다소 광범위한 내용이나, 최근 해상운송인에 대한 미 정부의 강력한 제재 방침에 따라 관행적으로 부과해오던 체화료와 지체료를 불합리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FMC는 2020년 말부터 미국발 수출화물에 대한 불공정한 거래관행을 조사
Avikus, a company specializing in developing autonomous navigation solutions, has succeeded in a large-scale vessel’s crossing the ocean for the first time in the world. The company was founded in January last year by HD Hyundai(previously Hyundai Heavy Industries), which is one of the world’s biggest shipbuilders to expedite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ies for vessels. Avikus announced on Thursday that it has successfully completed the autonomous ocean crossing of the 180,000 cubic meters super-large LNG carrier named ‘Prism Courage’ by collaborating with SK Shipping. The ship is equi
케이프 시장 지난 주 케이프 시장은 대부분 지역에서 뚜렷한 약세를 보이면서 순풍이 역풍으로 돌아섰다. 태평양 지역은 선복에 대한 옵션이 충분했기 때문에 용선자가 주도하는 시장으로, 지난 주 내내 이전보다 낮은 수준의 용선료로 계약이 체결되는 경우가 많았다. C5 서호주에서 칭다오 구간이 15.05 달러에서 시작해 11.741 달러로 마감되었고, 태평양 횡단 C10은 19,313 달러에 마감되었다. 태평양 지역의 추진력이 약해지면서 대서양도 그 뒤를 따랐다. 이 지역의 스폿 화물량 및 선복량이 적기 때문에 요율 수준도 낮아질 가능성이 크다. 대서양 횡단 C8은 금요일 22,100 달러까지 떨어졌다. 금요일 현재 31.675 달러인 투바라오에서 칭다오까지 C3 항로 운임의 급감과 동시에 남아프리카와 브라질에서 극동으로 가는 발라스터 선복이 누적되고 있다고 한다. 최근 뜨거웠던 백홀 항차 거래는 지난 주에는 한산한 모습이었고, 남아프리카에서 유럽까지의 짧은 백홀 항차는 알려진 것보다 훨씬 낮은 가격에 계약되고 있다고 한다. 이로 인해 C16 백홀 노선의 하한선이 상당히 낮아져 한 주가 끝나는 시점에는 17,350 달러로 거의 반 토막이 났다. 파나막스 시장 파나막
케이프 시장 케이프 시장은 그 동안 이어진 달리기 경주의 정점에서 한 주를 시작했다. 잠시 숨을 고른 후 고조된 분위기는 계속된 상승곡선에 이어 연중 최고치를 경신했다. 지난 주 케이프 5TC 지수는 4,805 달러 상승한 37,538 달러에 장을 마감했다. 태평양은 현재 프리미엄 지역이긴 하지만, 다른 지역이 상승세를 타는 동안 어느 정도 유지되는 모습을 보였다. 태평양 횡단 C10 지수는 한 주가 끝나갈 무렵 37,538 달러로 소폭 하락했다. 대서양 지역에서는 성약 건이 미미한 증가를 보였고, 대서양 횡단 노선은 지난 한 주 동안 8,900 달러 상승하여 32,150 달러를 기록하며 활기를 띄었다. 이 지역은 브라질에서 아라비아 만, 남아프리카에서 유럽, 그리고 브라질에서 지중해에 이르는 다소 일반적이지 않은 항로의 계약 건들이 섞여 있었는데, 모두 긍정적인 모습이었다. 이러한 분위기가 지속될지 아직 알 수는 없으나, 대서양 지역 선수들이 더 이상 벤치에 앉아있지 않고 마침내 강한 모습으로 돌아온 걸 볼 수 있었다. 파나막스 시장 시장 분위기가 대체로 긍정적인 것처럼 보였음에도 서구권과 아시아 지역 휴일의 영향으로 지난 주는 평탄하게 마감되었다. 대서양
한국해양진흥공사(사장 김양수, 이하 ‘해진공’) 등 부산지역 9개 공공기관*은 5월 17일(화) 부산국제금융센터 3층 캠코마루에서 ‘부산 사회적경제 지원 기금(Busan Embracement Fund for Social Economic Development, BEF)’으로 조성한 11.7억원을 위탁관리 기관인 (사)사회적기업연구원에 전달했다. BEF는 ’18년부터 부산지역 사회적경제기업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지원하기 위해 부산지역 9개 공공기관이 조성하는 기금으로서, 기술보증기금, 부산도시공사, 부산항만공사, 주택도시보증공사, 한국남부발전, 한국예탁결제원, 한국자산관리공사, 한국주택금융공사, 한국해양진흥공사가 참여하고 있다. 해진공 등 9개 공공기관의 BEF 사업은 2018년 시작되어, 5년간 총 50억원 조성이 목표였다. 지난 4년간 40억원을 조성한 데 이어 올해 11.7억원을 추가하여 누적 금액 총 51.7억원 규모로 목표의 103%를 달성했다. 또한, 지난 4년간 신규 일자리 166개 창출, 매출 56억원 증대라는 실질적 성과도 거뒀다. 올해부터 BEF 금융지원 사업은 ESG 분야 자금지원 확대 및 사회적 가치 연계모델 확산을 위해 기존 사회적경제조직(
아시아선주협회(ASA : Asian Shipowners’ Association)는 5월 19일 비대면으로 제31차 정기총회를 개최하고 올해 사업계획 및 예산안을 심의⋅의결하는 한편 공동합의문을 채택했다. 이 날 총회는 당초 우리나라 서울에서 대면으로 개최될 예정이었으나, 코로나19로 인해 작년에 이어 올해에도 비대면 화상회의로 개최되었다. ASA 총회에는 우리나라를 비롯한 일본, 중국, 홍콩, 대만, 호주, 싱가포르, 베트남,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필리핀, 태국 등 12개국 선주협회 대표 및 ASA 준회원 등 60여명이 참석하여 선원, 환경, 안전, 정책 등 각종 국제 해운이슈 및 해운시장 전망 등을 공유하고 대응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이 날 제31대 ASA 회장인 한국해운협회 정태순 회장을 대신하여 회의를 주관한 김영무 상근부회장은 환영사를 통해 “이번 총회 주제를 ‘아시아, 친환경 해운을 향해 전진하다’로 정하고, 아시아 선사들이 친환경 해운을 위해 서로 협력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ASA는 이번 총회에서 채택된 공동합의문을 통해 △코로나19로 인해 취약한 위치에 있게 된 선원들에 대한 보호 △해양오염에 대한 선주책임제한 권리 △수에즈 및 파나마 운하
케이프 시장 케이프 시장은 모든 지역에서 가격이 급등하며 바람에 돛을 단 듯 했다. 5TC 지수는 전주대비 8,731 상승한 32,733 달러로 한 주를 마감했다. 코로나19로 인한 상하이 봉쇄로 선박 크기 전 부문에 걸쳐 이동이 가로막힌 가운데, 케이프사이즈 시장은 브라질과 호주에서 수요가 발생하며 이들 지역으로 잉여 선복을 밀어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현재 서호주-중국 간 C5 항로는 15.077 달러, 브라질-중국 간 C3 항로 34.64 달러 등 모두 목요일에 올해 최고치를 경신했다. 이들의 항해 수준은 C14 브라질 중국 밸러스트 31,050 달러, C10 태평양 횡단 37,792 달러와 같다. 백홀 C16은 대서양 횡단 C8보다 5,000 달러 높은 28,500 달러로 한 주를 마감하며 놀라움과 혼란이 계속되는 중이다. 일부 사람들은 이것이 새로운 프론트홀 항로라고 얘기하기도 한다. 에너지 가격이 높은 수준으로 유지되고 있어 주로 유럽으로 향하는 석탄 수요가 선박 가격을 상승시키는 주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파나막스 시장 BPI 지수에 있어서는 여러 양상이 혼재된 한 주였다. 긍정적인 출발 후, 마지막에는 계약 활동과 분위기가 누그러졌다.
케이프 시장 케이프 시장은 짧은 한 주 동안 요율이 강하게 상승하며 금요일 현재 5TC가 주당 6,262 달러 오른 24,002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주로 태평양 지역이 긍정적인 마켓 분위기를 주도했지만 대서양 지역과 발라스터 거래 역시 활발했고 모든 곳에서 큰 폭의 상승세를 기록했다. 북대서양 지역의 화물 수준이 좋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지만 평소와 같은 가시성을 확보하기 위해 힘겨운 싸움을 하며 광범위한 운임 수준이 언급되었다. 대서양 횡단 C8은 현재 17,200 달러, 발라스터 C14는 22,018 달러로 요율이 낮아진 반면, 태평양 횡단은 27,754달러의 높은 금액을 요구하고 있다. 해운시장을 움직이는 큰 손과 관심의 초점은 현재 대서양 횡단 C8보다 높은 가격을 기록 중인 18,475 달러의 백홀 C16이다. 석탄 운송은 현재의 지정학적 상황으로 인해 유럽으로 들어가는 공급 루트가 크게 증가하며 계속적인 강세를 보이고 있다. 케이프 시장은 요율의 인상과 할인으로 불안정하게 흔들리며 그 흐름이 정상적이지 않은 상태이다. 파나막스 시장 휴일로 짧아진 몇 주가 지나고, 지난 주 중반에는 실물 및 선물거래가 급등하며 파나막스 시장에 자극을 주었다. 남미
케이프 시장 지난 주 케이프사이즈 시장은 BCI와 5TC 노선 평균이 각각 2003 포인트와 16,609 달러를 기록하고 2,136 포인트와 17,713 달러로 마감하며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모습을 보였다. 전반기에는 태평양 지역의 힘을 받아 호조를 보였다. C5 서호주에서 중국으로 향하는 거래량은 그 전 주부터 상승세를 이어갔으나 12.245 달러 고점에서 주말에는 12 달러 아래로 점차 내려갔다. 2022년 1분기 중국의 브라질산 철광석 수입은 전년 동기 대비 24%나 크게 감소했지만 여전히 호주산보다는 훨씬 많은 양으로 나타났다. 주 후반에는 브라질과 아프리카 서안에서 거래가 증가했다. C3 브라질-칭다오간 요율은 28일 25.457 달러로 전날보다 1 달러 가까이 하락했다. 중개인들에 따르면 북대서양 지역은 대체로 균형을 유지했다고 한다. 휴일을 낀 긴 주말이 지나고 화요일에는 동서 지역 모두에서 시장이 다시 제 자리를 찾을 것으로 보인다. 파나막스 시장 전반적으로 파나막스 시장은 탄력을 받지 못하고 침체된 한 주를 보냈다. 대서양 시장은 초반에 움츠러들었다가 한 주가 끝나가면서 북부 지역 입찰가가 약간의 강세를 보이며 다시 반등했다. 주 중반쯤 81,
클라우드를 기반으로 한 무역금융 디지털 솔루션 기업 볼레로인터내셔널(Bolero International, 이하 ‘볼레로’)이 국적선사 HMM의 전자선하증권(e-B/L) 도입에 함께하게 됐다고 지난 27일 발표했다. 볼레로에 따르면, HMM은 올해 3월 중국-인도 간 화물운송에 볼레로의 갈릴레오 플랫폼을 사용하여 e-B/L의 시범 발행에 성공했으며, 향후 아시아 지역으로 e-B/L 이용을 확대할 예정이라고 한다. e-B/L이 안정적으로 자리잡을 수 있을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선하증권은 해상운송계약에 따른 운송물의 수령 또는 선적의 증거이자 그 물품의 인도청구권을 문서화한 서류이다. 일반적으로 선적서류는 환어음과 함께 은행 등을 경유하여 목적지로 송부되는데, 서류의 도착이 선박보다 늦으면 운송인은 서류를 기다리거나 혹은 위험을 감수하고 선하증권 없이 물품을 인도해야 하는 상황이 심심치 않게 발생한다. 이는 특히 선박운항 시간이 짧은 근거리 운송에 있어 더욱 빈번히 발생하는 문제였다. 여기에 더하여, 선하증권 위조 등의 문제점 역시 e-B/L의 필요성이 대두된 이유 중 하나이다. e-B/L에 대한 논의는 오래전부터 있어 왔지만 2000년대 들어 기술의 발전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