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폰12가 10월 말 출시 예정이다. 아이폰12는 애플의 첫 번째 5G 스마트폰으로 예전 모델들에 비해 초도물량이 적은 것으로 알려져 출시 초반 품귀현상이 예상된다고 한다. 스마트폰에 비해 일반 사람들의 주목은 덜하겠지만 일부의 게임 마니아들이 고대하고 있는 소니의 플레이스테이션5도 곧 출시를 앞두고 있다. 애플, 삼성, 소니와 같은 기업들이 언제, 어떤 물건을 출시하는지, 국제물류 종사자들이나 주로 항공으로 제품을 수출하는 제조업자들도 관심을 가져야 할 것 같다. 그들의 신제품 출시가 운임을 움직이는 요인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사실 아이폰의 새로운 모델이 나올 때마다 항공운송시장을 점령하다시피 하는 것은 이미 알만한 사람들은 다 아는 사실이다. 홍콩 항공화물 운임지수인 TAC지수에 따르면, 상하이-북유럽 노선의 평균 운임은 지난주보다 4.5% 오른 킬로그램당 4.20달러로 4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으며 이는 지난해 같은 주보다 63%나 높은 수치다. 코로나19의 확산으로 일반 항공화물과 함께 개인보호장비의 운송량이 증가한 데다가 출시를 앞둔 아이폰12와 플레이스테이션5 등의 제품을 위한 적재공간 경쟁이 심화된 탓이라는 것이 업계 관계자들의 얘기다.
(사)한국해사포럼이 『한국해운전략 2030 “해운재건을 중심으로"』라는 주제로 웨비나를 개최한다. 일시는 10월 22일 16:00~18:00이며, 온라인(Zoom)과 오프라인(고려대 최고위과정실)으로 동시 진행된다. 이번 웨비나에서는 한진해운 사태의 의의와 교훈, 우리 해운산업의 발전 방안 등을 해운 각 분야 전문가들이 다양한 각도에서 심도 있게 다룰 예정이다. 자세한 일정은 아래와 같다. 시 간순 서비 고16:00개 회사회: 문병일16:00 ~ 16:05개 회 사윤민현 한국해사포럼 회장16:05 ~ 16:10축 사정태순 한국선주협회 회장16:10 ~ 16:15기조연설김춘선 인하대 교수16:15 ~ 16:30주제발표 1 한진해운 사태의 의의와 교훈윤민현 한국해사포럼 회장16:30 ~ 16:45주제발표 2 정기선해운 발전방안권기현 밸류링크유 전무16:45 ~ 17:00주제발표 3 선화주 상생과 조선산업김인현 고려대 교수17:00 ~ 17:15주제발표 4 해운조선 상생방안한종길 성결대 교수17:15 ~ 17:30지정토론진행: 정병석 김&장 변호사이철원 한국해운신문 발행인유병세 조선해양플랜트협회 전임전무이종덕 S사 부장17:30 ~ 18:00종합토론 · 질
최근 아시아에서 미국으로 향하는 컨테이너 화물이 크게 늘어나면서 컨테이너를 실을 수 있는 선박이 품귀현상을 빚고 있다. 지난 9월 24일 무역협회와 선주협회가 개최한 선화주간담회에서 삼성SDS, 범한판토스 현대글로비스 등 국내 화주기업들은 늘어나는 수요에 맞춰 컨테이너 선박의 긴급투입을 요청한 바 있다. 이런 화주기업들의 요청을 받아들여 HMM은 지난 8월말과 9월말 두 차례 임시편을 추가 투입한데 이어 10월 30 일 부산을 출항해 로스앤젤레스로 직기항하는 선박을 임시편으로 추가 투입키로 했다. 특히 이번에 투입하는 '벤쿠버(Vancouver)' 호는 6300TEU급 대형선박으로 지난번에 투입한 두 차례의 임시편(1차 '인테그랄(Integral)'호 4600TEU, 2차 '프레스티지(Prestige)'호 5000TEU)보다 크다. 선화주간담회에 이어 무역협회(국제무역통상연구원)는 9월 28일 현안보고서인 「트레이드 브리프」를 발간하여 선화주 협력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보고서는 종합심사낙찰제나 우수선화주인증제도 등 정부정책으로 채택되어 추진 중인 선화주 상생방안들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를 내리는 한편 “국적선사는 신규노선 개발 등 대화주서비스를 개선하고, 화
It is known that there are about 90 typhoons(also called cyclones or hurricanes) every year all around the world. Among the climate experts’ divided opinions, one persistently strong view says global warming has not significantly increased the number of typhoons, which is slightly different from what we feel these days. We recently experienced strong typhoons more frequently than years before. Even though there has been very little change in number, it is obvious that they are getting more ferocious year by year. Some studies show the power of the typhoons that hit East Asia, including Korea,
해양수산부(장관 문성혁)와 인천광역시(시장 박남춘)는 10월 5일(월)부터 30일(금)까지 ‘제1회 인천국제해양포럼’ 사전등록을 진행한다. 인천국제해양포럼은 해양산업 분야 기업인들이 미래전략을 준비하기 위해 해양산업·기술 동향을 공유하고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장을 마련하기 위해 올해 처음 개최되는 행사이다. 행사는 11월 19일부터 20일까지 인천 송도컨벤시아에서 진행되며, 해양수산부와 인천광역시가 공동으로 주최하고 인천항만공사와 연합뉴스가 공동 주관한다. 인천국제해양포럼에서는 ‘뉴 노멀시대, 해양산업의 새로운 시작(New normal, Reboot ocean industries)’이라는 주제 아래, 국내외 해양 및 항만 관련 전문가들이 모여 ·항만과 도시의 발전방향 ·코로나19 시대의 해양수산 산업 변화 ·남북물류 협력 전략 ·해양산업의 4차산업혁명과 해양디지털통신·포스트코로나 시대의 미래지향적 해양관광 생태계 구축 전략 ·해양산업의 발전과 해양환경 보전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다. 특히, 세계 최대의 항만 운영회사인 PSA International의 Tan Chong Meng 대표, 세계최대 해운 선사인 Maersk Line의 Ditlev Blicher 아시아
지난 9월 28일 CMA CGM 그룹(CMA CGM, ANL, APL, CNC)의 홈페이지와 시스템이 사이버 공격을 받은지 이제 일주일이 지났지만 여전히 웹사이트를 이용한 서비스는 중단 상태이다. CMA CGM은 중국 상하이, 선전, 광저우 지사에서 '라그나로커(Ragnar Locker)' 랜섬웨어의 공격을 받은 것으로 밝혀졌다. 현재 고객들은 해당 선사의 선복 이용시 예약 플랫폼인 ‘INTTRA’ 포털 또는 엑셀 파일을 이용한 수기입력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해운기업에 대한 사이버 공격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2017년 Maersk는 ‘낫페트야(NotPetya)’ 랜섬웨어 공격을 받은 바 있다. 2018년에는 COSCO에 사이버 공격이 있었고, 지난해에는 MSC의 데이터센터가 악성코드에 감염되면서 선박 예약 서비스가 중단된 일이 있었다. 이로써 일년에 한 건씩 4년 동안 세계 4대 해운 회사가 모두 피해를 입게 되었다. 한편 CMA CGM과 비슷한 시기에 사이버 공격을 받았던 세계해사기구(IMO) 웹사이트는 10월 2일 복구되었다. IMO는 상선에 대한 사이버 위험 관련 규정의 발효를 석 달 가량 앞두고 있다. 2017년 IMO가 채택한 해사안전위원회 결
HMM(대표이사 배재훈)은 9월 30일 21시 ‘HMM 상트페테르부르크(St Petersburg)’호가 1만9,529TEU를 선적하는 만선(滿船)으로 유럽으로 출항하면서 올해 인도받은 세계 최대 2만4,000TEU급 컨테이너선 12척 모두 만선으로 출항하게 되었다고 밝혔다. 이로써 지난 5월 1만9,621TEU 세계 기록을 경신한 1호선 ‘HMM 알헤시라스(Algeciras)’호부터 12호선까지 모두 만선으로 출항하고, 1호선 ‘HMM 알헤시라스(Algeciras)’호와 2호선 ‘HMM 오슬로(Oslo)’호, 3호선 ‘HMM 코펜하겐(Copenhagen)’호는 유럽에서 복귀 후 재출항한 두 번째 항차에서도 만선으로 출항해 유례없는 15항차 연속 만선 행진을 이어가는 등 시장에서 초대형선의 효과를 입증하고 있다. HMM 배재훈 사장은 “그간 우리 정부가 ‘해운재건 5개년 계획’을 통해 경영위기에 처한 HMM을 적극 지원해준 덕분에 다시 일어서는 모습을 보일 수 있게 되었다”며, “앞으로 어떠한 어려움이 닥치더라도 이겨낼 수 있는 견실한 경쟁력을 갖춘 대한민국 대표 해운기업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지난 4월말부터 약 5개월동안 연속 만을 기
HMM(대표이사 배재훈)은 9월 30일 21시 ‘HMM 상트페테르부르크(St Petersburg)’호가 1만9,529TEU를 선적하는 만선(滿船)으로 유럽으로 출항하면서 올해 인도받은 세계 최대 2만4,000TEU급 컨테이너선 12척 모두 만선으로 출항하게 되었다고 밝혔다. 이로써 지난 5월 1만9,621TEU 세계 기록을 경신한 1호선 ‘HMM 알헤시라스(Algeciras)’호부터 12호선까지 모두 만선으로 출항하고, 1호선 ‘HMM 알헤시라스(Algeciras)’호와 2호선 ‘HMM 오슬로(Oslo)’호, 3호선 ‘HMM 코펜하겐(Copenhagen)’호는 유럽에서 복귀 후 재출항한 두 번째 항차에서도 만선으로 출항해 유례없는 15항차 연속 만선 행진을 이어가는 등 시장에서 초대형선의 효과를 입증하고 있다. HMM 배재훈 사장은 “그간 우리 정부가 ‘해운재건 5개년 계획’을 통해 경영위기에 처한 HMM을 적극 지원해준 덕분에 다시 일어서는 모습을 보일 수 있게 되었다”며, “앞으로 어떠한 어려움이 닥치더라도 이겨낼 수 있는 견실한 경쟁력을 갖춘 대한민국 대표 해운기업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지난 4월말부터 약 5개월동안 연속 만을 기
코로나19로 전세계 무역량이 감소했지만, 전자상거래는 오히려 호황을 맞고 있다. 이에 아마존(Amazon)이나 디에이치엘(DHL)과 같은 대형 물류 기업들이 연달아 전자상거래 분야의 대량 인력 채용, 거점 확충 등의 투자 강화책을 밝히고 있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원장 장영태)의 자료에 따르면, 디에이치엘(DHL)은 전자상거래 전담 센터를 신설하고 자동화 기기 도입에 3,000만 달러(약 348억 원)를 투자할 예정이며, 유피에스(UPS), 페덱스(FedEx)도 화물취급 역량 강화 계획을 발표하는 등 코로나19로 촉발된 전자상거래 판매 경쟁에 대응하기 위해 대규모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다고 한다. 아마존은 북미 물류망 확대에 맞추어 10만 명을 신규 고용하겠다고 지난 9월 14일 발표했다. 코로나19의 대유행으로 올해 3월부터 전 세계의 전자상거래 거래량이 급증하기 시작했다. 아마존의 2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40% 증가한 889억 달러(약 103조 원)로 분기 최고치를 경신했으며, 디에이치엘에서 전자상거래 분야를 다루는 디에이치엘이커머스솔루션즈(DHLeCS: DHL e-Commerce Solutions)는 올해 11~12월 성수기 동안의 전자상거
해양수산부(장관 문성혁)와 여수광양항만공사(사장 차민식, 이하 공사)는 9월 28일(월)부터 11월 25일(수)까지 광양항 해양산업클러스터에 입주할 기관을 모집한다. 해양수산부는 신항만 개발 등으로 유휴화된 항만에 해양산업과 연관산업이 모여 융·복합 시너지를 창출할 수 있도록, 2016년에「해양산업클러스터의 지정 및 육성 등에 관한 특별법」을 제정하고 해양산업클러스터 조성을 추진하고 있다. 해양산업클러스터는 유휴항만시설을 중심으로 하는 10만㎡ 이상의 지역을 대상으로, 해양산업 등의 집적 및 융·복합 효과, 지역 경제 및 도시개발 등과의 연관성 등을 고려하여 해양수산부장관이 지정한다. 광양항 해양산업클러스터는 ‘제1차 해양산업클러스터 기본계획’에 따라 조성된 국내 최초 해양산업클러스터로, 광양항 컨테이너 부두 4번 선석(209,414㎡), 중마일반부두(78,470㎡)를 대상으로 하며 올해 11월 완공을 앞두고 있다. 해운·항만 물류 연구개발(R&D) 산업을 핵심산업으로 하며, 해양수산부가 스마트항만 구축을 위해 중점 추진 중인 ‘스마트자동화 항만 시험장(테스트베드)’도 입주할 계획이다. 향후 해운·항만 물류 연구개발(R&D) 관련 기업과 연구기
DB쉥커(DB Schenker)가 독일의 항공분야 스타트업 볼로콥터(Volocopter)와 파트너쉽을 체결하고 중량화물 운송을 위한 eVTOL(전동수직이착륙, Electric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볼로드론(VoloDrone)을 운영하기로 했다고 로이터 통신이 24일 보도했다. 볼로콥터는 2011년 설립되어 볼로시티(VoloCity)와 같은 eVTOL 항공기를 개발, 항공 택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지난해 10월에는 볼로드론으로 물류, 농업, 공공서비스, 건설업 등의 분야에 진출하겠다고 선언했다. 볼로드론의 운송물 하중은 최대 200kg이고, 40km 이내 배송이 가능하다. UPS, 월마트, 아마존이 항공기를 이용한 B2C(Business-to-Customer) 배송에 초점을 맞춘 것과 달리 DB쉥커는 B2B(Business-to-Business) 운송을 염두에 두었다고 한다. 볼로콥터의 CEO인 플로리안 로이터(Florian Reuter)는 로이터 통신과의 인터뷰에서 "드론의 물류적 활용을 생각할 때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3kg 정도의 화물을 현관 앞으로 가져다주는 라스트 마일(last-mile) 배송을 떠올리지만 우리가
페덱스(FedEx)는 국제 구호개발 비영리기구(NGO) 세이브더칠드런과 협력해 올가을 학기 도움이 필요한 학생들에게 교육용 지원 물품을 전달했다고 25일 밝혔다. 세이브더칠드런은 학생들이 새 학기를 원활하게 준비할 수 있도록 학용품 세트, 마스크, 손 세정제 등 위생용품이 포함된 박스 400개를 준비했으며, 페덱스는 서울, 경기, 인천 지역 아동보호 전문기관과 그룹 홈을 통해 저소득 취약계층 아동 400명에게 이번 돌봄 패키지를 전달했다. 채은미 페덱스코리아 지사장은 “페덱스는 매일 필수적인 물품을 필요한 곳으로 전달하고 있다”며 “우리의 목표는 우리의 뛰어난 배송 네트워크를 통해 이러한 구호 및 복구 노력을 지원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채은미 지사장은 “많은 가정이 코로나19로 힘겨운 상황이며 특히 우리 지역사회 어린이들은 그 어느 때보다 우리 도움을 필요로 하고 있다”며 “우리의 돌봄 패키지가 희망을 전달하고 학생들이 새로운 가능성을 발견하는 여정에 용기를 줄 수 있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이번 사회공헌활동은 창립 50주년을 맞는 페덱스가 2023년까지 전 세계 5000만명의 사람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을 목표로 하는 ‘페덱스 케어스 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