팬오션은 최근 2017년 3분기 실적을 공시했다. 이번 실적 발표에 따르면 당 분기 매출은 5,838억원, 영업이익은 522억을, 2017년 3분기 누적 매출은 1조 7,392억원, 영업이익은 1,419억원을 달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25.3%, 영업이익은 41.8% 증가, 누적 기준으로는 매출이 27.8%, 영업이익이 20.5%가 증가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팬오션의 이번 실적은 시황 상승을 예측, 선제적으로 선대를 확보함으로서 포트폴리오를 구성한 것이 주요하게 작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로 2017년 3분기 평균 BDI는 2016년 동기(736포인트) 대비 약 54% 증가한 1,137포인트를 기록했다. 또한, 중국의 철광석/석탄 수입 증가 및 남미 곡물 수출량 증가 요인도 유효하게 작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전기 대비 매출은 7.7% 하락, 영업이익은 7.0%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3분기 국내향 곡물수입량 상대적 감소로 매출은 소폭 하락한 반면, 벌크 부문 실적 상승으로 영업이익은 증가한 것으로 알려졌다. 팬오션 관계자는 “지난해 전대미문의 저시황기를 지내오며, 안정적인 수익 창출을 위해 선제적인 시장 대응력 강화
인천항만공사를 비롯한 다양한 기관들이 모여 천연에너지자원인 햇빛을 활용, 항만에서의 탄소배출을 줄이고 인천지역 백혈병 소아암 환우들의 직간접적 치료재원을 마련하기 위해 관계기관들이 손을 맞잡았다. 인천항만공사(이하 IPA)는 최근 아시아 최초 친환경 LNG추진 선박인 ‘에코누리’호 선상에서 한국백혈병어린이재단, 한국지역난방공사, 유니테스트와 인천항 햇빛·나음발전소 건설을 통한 지역사회 백혈병 소아암 환우 지원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공사에 따르면, 제2호 친환경 나음발전소는 인천항 북항배후단지와 갯골물류단지의 유휴 자원을 활용하여 태양광 발전소를 건설하는 사업이다. 나음발전소는 힘든 치료과정을 겪고 있는 백혈병 소아암 어린이들이 ‘나아질 수 있다는 마음과 나을 수 있다는 믿음’을 주기 위해 명명되었으며 태양광발전소의 발전수익은 백혈병 소아암 어린이를 돕기 위한 지원금으로 사용된다. 제1호인 햇빛발전소는 지난해 12월 아암물류1단지 및 북항배후단지 물류창고와 연안여객터미널을 활용한 햇빛 발전사업으로 인천지역 학생에게 장학금을 지원한 바 있다. 업무협약에 따르면, △IPA는 나음발전소 건설을 위한 부지 제공과 운영을, △한국백혈병어린이재단은 나음사업을 통해
김영춘 해양수산부장관은 14일 오후 2시 국회 의원회관에서 개최되는 ‘해양수산 분야 헌법개정 토론회’에 참석한다. 이번 토론회는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이개호 의원이 주최하고 한국해양재단이 주관하는 것으로, 해양수산의 미래가치와 국가비전을 반영한 “해양수산 분야 헌법 개정안”에 대한 의견을 청취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이 자리에는 설훈 의원, 김성찬 의원, 김현권 의원 등 농해수위 위원들이 함께하고, 고문현 차기 헌법학회 회장 등 헌법 전문가와 해양수산 업계 대표들이 발제 및 종합토론을 진행할 계획이다. 김 장관은 환영사에서 “해양을 통한 국가발전 전략과 미래 비젼을 세우기 위해서는 우리 헌법에 ‘해양’을 명문화* 하는 것이 중요”함을 강조하고, “이번 개헌안에 반영될 수 있도록 국회를 비롯한 관계자들의 많은 관심과 협조을 부탁드리며, 정부도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할 예정이다.
해양부는 13일부터 오는 16일까지 나흘간 부산 한국해양수산연수원에서 중국·일본 등 총 18개국 30여명의 항만국통제관을 대상으로 선박평형수 관리협약 전문교육을 실시한다. 아·태 지역 항만국통제협의체(T-MOU)는 회원국 항만국통제관을 초청하여 매년 전문교육을 실시하고 있으며, 올해에는 선박평형수 관리협약을 교육 주제로 선정하고 우리나라에서 교육을 진행할 것을 제안하였다. 해양부는 이번 교육을 위해 선박평형수 관련 정부와 민간 전문가들로 강사진을 구성하고, 협약 내용 등 이론교육 외 다양한 현장 견학 기회도 제공한다. 우선 부산항을 찾아 우리나라가 아시아 최초로 준공한 선박평형수 처리장치 이동형 시험설비를 견학하고, 거제 삼성중공업 조선소를 방문하여 실제 평형수 처리장치를 확인하고 학습하는 시간도 마련된다. 교육 수료 후에는 우리부와 T-MOU, 국제해사기구 장 명의의 수료증이 수여된다. 이번 행사를 계기로 아·태 지역 항만국통제 업무를 수행하는 각국 실무자들과의 인적 관계망을 형성하고, 우리나라의 우수한 선박평형수 관리기술 수준을 국제사회에 널리 알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황의선 해양부 해사안전정책과장은 “이번 교육을 통해 선박평형수 산업을 선도
부산항만공사는 오는 16일부터 17일까지 양일간 부산항국제여객터미널 컨퍼런스홀에서 제5회 부산국제항만컨퍼런스(Busan International Port Conference 2017)를 개최한다고 13일 밝혔다. 2013년 최초 개최된 부산국제항만컨퍼런스(BIPC)는 지난 4년 간 매년 세계 약 30여개국에서 600여명이 참석하는 부산항을 대표하는 국제행사로 자리잡았다. 올해는 항만당국·선사·터미널·학계·해운항만분석기관 그리고 OECD를 비롯한 여러 국제기구에서 21명이 연사로 참석하여 해운·항만 업계가 직면한 범 세계적 현안에 대하여 논의하고 부산항과 세계 해운항만업계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심도있게 모색할 예정이다. 이번 제5회 행사는 “전환시대의 새로운 모색”이라는 대주제로 ▲항만 간 협력과 물류 효율화 ▲ 신얼라이언스 체제와 항만의 대응 ▲ 신 물류체계, 그 후 1년 ▲ 4차 산업혁명과 물류산업의 혁신 ▲ 신흥국 항만물류 인프라 개발협력 등 총 5개의 세션으로 구성된다. 첫 번째 세션인 ‘항만 간 협력과 물류 효율화’는 과거 항만당국의 소극적인 역할의 한계를 넘어서, 최근의 디지털화 및 혁신 트렌드에 발맞추어 항만당국의 적극적인 역할 및 협력에 관하여
부산항만공사는 세네갈 다카르항만공사(국제협력국장 Papa Ibrahima, 파파 이브라히마) 일행이 지난 10일 부산 신항을 방문했다고 13일 밝혔다. 부산국제수산무역전시회 참석차 부산을 방문한 이들 일행은 전시회 일정이 끝난 후, 부산항의 우수한 인프라 등을 직접 보기 위해 부산항신항을 찾았다. 홍보관과 터미널 현장을 둘러본 파파 이브라히마 다카르항만공사 국제협력국장은 “세계적인 부산항의 규모에 놀랐으며, 부산항의 항만개발 및 운영 경험과 노하우를 다카르 항만 운영과 관리에 참고하겠다”고 말했다.
머스크라인 COO(최고운영책임자) 쇠렌 토프트(Søren Toft)에 의하면 머스크라인에서는 대형선박 주문이 그룹에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칠 것을 우려하고 있다. 현재 20,600 Teu급 선박과 15,200 Teu급 선박을 주문한 상태이지만 앞으로 더 주문하는 것은 위험하다고 보고 있다. 또, 토프트는 머스크라인이 함부르크쉬드를 인수하는 것을 중국에서 동의했다고 알렸다. 22,000 Teu 급 선박을 주문하지 않을 예정 머스크라인에서는 약 22,000 Teu 급의 대형선박을 주문하는 것에 대해 비판적으로 보고 있다. “초대형 선박을 주문하는 새로운 주문 경향은 위험한 부분이 있습니다.“ 라고 전화상으로 이루어진 독일물류신문 DVZ와 인터뷰에서 토프트는 제3분기 회계 수치 공고와 관련하여 말했다. 머스크라인은 평균적인 화물 운임이 14% 증가한 2063 USD/Feu를 기록한 덕분에 수익 구간으로 복귀했으며 수익의 대부분이 그룹 수익에 기여했다. 지금 다시 거대 메가 선박을 주문한다면 불안하게 회복한 시장이 다시 곤두박질 칠 것이며 2019년 예측된 수요와 공급의 평준화가 다시 빠르게 혼란에 빠지게 될 것이다. 토프트는 “머스크라인은 22,000 Teu 급 선
머스크라인 COO(최고운영책임자) 쇠렌 토프트(Søren Toft)에 의하면 머스크라인에서는 대형선박 주문이 그룹에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칠 것을 우려하고 있다. 현재 20,600 Teu급 선박과 15,200 Teu급 선박을 주문한 상태이지만 앞으로 더 주문하는 것은 위험하다고 보고 있다. 또, 토프트는 머스크라인이 함부르크쉬드를 인수하는 것을 중국에서 동의했다고 알렸다. 22,000 Teu 급 선박을 주문하지 않을 예정 머스크라인에서는 약 22,000 Teu 급의 대형선박을 주문하는 것에 대해 비판적으로 보고 있다. “초대형 선박을 주문하는 새로운 주문 경향은 위험한 부분이 있습니다.“ 라고 전화상으로 이루어진 독일물류신문 DVZ와 인터뷰에서 토프트는 제3분기 회계 수치 공고와 관련하여 말했다. 머스크라인은 평균적인 화물 운임이 14% 증가한 2063 USD/Feu를 기록한 덕분에 수익 구간으로 복귀했으며 수익의 대부분이 그룹 수익에 기여했다. 지금 다시 거대 메가 선박을 주문한다면 불안하게 회복한 시장이 다시 곤두박질 칠 것이며 2019년 예측된 수요와 공급의 평준화가 다시 빠르게 혼란에 빠지게 될 것이다. 토프트는 “머스크라인은 22,000 Teu 급 선
인천-웨이하이, 인천-칭다오 카페리 항로를 운영하고 있는 위동항운유한공사는 지난 9일 ‘제6차 한국청소년 중국문화탐방’ 행사를 실시하고, 당일 제2국제여객터미널에서 출정식을 거행했다. 지난 2012년부터 시작하여 한중 통합 10회째를 맞는 이번 행사는 전국소년소녀가장돕기시민연합과 공동으로 기초생활수급가정, 소년소녀가장, 한부모 가정, 위탁가정 등 여러 어려운 형편으로 체험기회가 적은 소외계층 청소년 38명과 인솔자 6명 등 총44명을 초청하여 카페리 승선체험 및 중국 산동성 문화탐방을 실시한다. 출발에 앞서 진행된 출정식에서 위동항운 최장현 사장은 인사말을 통해 “역사적으로 산동성은 일찍부터 우리나라와의 빈번한 교류를 한 지역 으로 우리 민족이 왕성하게 활동했던 지역”이며,“우리 위동항운은 수교전인 1990년에 인천과 산동성 웨이하이시 간 황금가교라 불리우는 카페리항로를 개설했고, 양국은 이를 통해 한중수교라는 역사적 결실을 맺게 되었다”고 소개했다. 아울러 “양국의 미래를 책임질 청소년들이 이번 문화탐방 교류행사를 통해 중국을 이해하고 많은 것을 배워서 향후 양국의 건강한 관계 발전에 큰 역할을 해주기를 희망한다”고 당부하며 준비한 의류와 여행용품 등을 전
중국 국영 조선소가 개발 및 건설한 세계 최초의 스마트 선박이 광동지역 주도인 광저우에서 최초로 시범 운행을 시작했다. 3만 8천 800미터 규모의 ‘Great Smart’로 이름 붙여진 이 초대형 벌크선은 최근 광저우에서 일주일간의 시범운행 후 올해 말 경 아직 확인되지 않은 임차인에게 전달될 것이라고 중국 국영 조선소가 밝혔다. Great Smart 선박은 주로 상하이 상선 디자인 연구소에 의해 설계되었으며 광저우에 있는 Huangpu Wenchong 조선소에 의해 지어졌다. 이 두 곳의 기관은 모두 중국 국영 조선소의 자회사이다. 해당 선박은 친환경 연료를 사용하는 ‘Green Dolphin’ 벌크선 개념의 수정판이다. 이 회사는 해당 선박이 세계 최초의 스마트 선박이라 주장하는데, 이는 그것이 세계 최초의 해상 기술 표준인 ‘사이버 보안’과 ‘사이버-수행’, ‘사이버-정비’부분 상을 수여한 최초의 항해선일 뿐 아니라, 우수 해양 기술 표준 서비스 중의 하나인 영국 해양 분류 협회, 로이드 선급협회에 스마트 선박으로 표기되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중국 국영 조선소에 따르면 중국 분류 협회에서도 Great Smart는 ‘지능형 컨테이너선’으로 표기되어 있
중국 국영 조선소가 개발 및 건설한 세계 최초의 스마트 선박이 광동지역 주도인 광저우에서 최초로 시범 운행을 시작했다. 3만 8천 800미터 규모의 ‘Great Smart’로 이름 붙여진 이 초대형 벌크선은 최근 광저우에서 일주일간의 시범운행 후 올해 말 경 아직 확인되지 않은 임차인에게 전달될 것이라고 중국 국영 조선소가 밝혔다. Great Smart 선박은 주로 상하이 상선 디자인 연구소에 의해 설계되었으며 광저우에 있는 Huangpu Wenchong 조선소에 의해 지어졌다. 이 두 곳의 기관은 모두 중국 국영 조선소의 자회사이다. 해당 선박은 친환경 연료를 사용하는 ‘Green Dolphin’ 벌크선 개념의 수정판이다. 이 회사는 해당 선박이 세계 최초의 스마트 선박이라 주장하는데, 이는 그것이 세계 최초의 해상 기술 표준인 ‘사이버 보안’과 ‘사이버-수행’, ‘사이버-정비’부분 상을 수여한 최초의 항해선일 뿐 아니라, 우수 해양 기술 표준 서비스 중의 하나인 영국 해양 분류 협회, 로이드 선급협회에 스마트 선박으로 표기되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중국 국영 조선소에 따르면 중국 분류 협회에서도 Great Smart는 ‘지능형 컨테이너선’으로 표기되어 있
The world’s first smart ship, developed and built by China State Shipbuilding Corp, has started its first trial voyage in Guangzhou, capital of Guangdong province, The 38,800-metric ton bulk carrier, named Great Smart, started a weeklong trial on Tuesday off Guangzhou and will be delivered at the end of this year to an unidentified leaser, CSSC said in a statement. It was designed primarily by Shanghai Merchant Ship Design and Research Institute and built by Huangpu Wenchong Shipbuilding Co in Guangzhou. The two entities are subsidiaries of CSSC. The ship is a modified version of the Green Dol